‘교토 여행’ 누르면 추천 음식·호텔 쫙…네이버의 새 AI 검색
네이버가 검색 서비스에 인공지능(AI) 요약 기능을 붙인다. 이해진 창업자(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이사회 복귀를 앞둔 가운데 네이버가 주력 서비스에 AI를 내재화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네이버는 오는 27일 검색 서비스에 AI 요약 기능인 ‘AI 브리핑’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기존 키워드 검색 결과 상단 또는 중간에 AI가 요약한 검색 결과를 함께 노출하는 방식이다. 자체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로 구현했다. 네이버는 자타공인 국내 1위 검색 서비스 사업자다. 한국어에 특화된 장점을 내세워 국내 시장을 평정했고, 검색 기반으로 키워드 광고 등 수많은 파생 서비스를 만들었다. 하지만 최근들어 경쟁력에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글로벌 강자 구글이 맹추격하고 있어서다. 웹 서비스 분석 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네이버는 국내 웹 검색 시장의 66.41%를 점유하고 있으며, 구글은 26.07%로 뒤를 이었다. 구글의 점유율은 지난해 한 때 40%에 육박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챗GPT 서치, 퍼플렉시티 등 ‘검색의 미래’로 불리는 AI 검색 서비스가 시장의 파이를 나눠가져가고 있다. 구글도 지난해 12월부터 AI 검색 서비스인 ‘AI 오버뷰’ 기능을 한국어로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로선 현재 위치를 지키며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했고, 이번에 AI 브리핑 도입으로 이어졌다. 네이버는 지난해부터 기존 서비스에 AI 기능을 더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을 강조해왔다.
네이버는 AI 브리핑이 구글 AI 오버뷰와 달리 개인화된 생활 밀착형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이용자들이 직접 작성한 블로그, 카페, 리뷰 등을 통해 보다 개인이 선호하는 맞춤형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교토 여행’이란 키워드를 검색할 때 구글의 AI 오버뷰는 작동하지 않지만, 네이버 AI 브리핑에선 블로그 등을 바탕으로 꼭 먹어야 할 음식, 인기 호텔 등의 내용을 제공해준다.
한편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는 지난 21일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이 공동 주최한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2025’에 참석해 “네이버는 의료 AI 투자에 진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는 26일 열릴 주주총회를 거쳐 7년만에 이사회에 복귀할 예정이다. 이 창업자는 “AI라는 시대에 네이버가 어떻게 살아남을지, 산업을 끌고 나갈지 고민 끝에 여기(의료 AI)에 실마리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AI라는 엄청난 물결에 과감하게 올라타야 하는데, 똑똑한 사람에 먼저 투자해야 방향과 전략을 바꾸면서 잘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광우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휠체어 탈 몸이 도봉산 오른다, 78세 노인의 ‘10분 습관’ | 중앙일보
- "하룻밤 여성 3명 강간한 아들 둔 엄마"…김선영 괴롭힌 '이 여자' | 중앙일보
- '첨단제조 핵심기지' 동남아 아니었어? 강요받는 'U턴' | 중앙일보
- 아이슬란드 교육부 장관, 15살 소년과 교제·출산 인정하고 사임 | 중앙일보
- "그집은 그을린 흔적도 없어"...산청 산불 50cm 비껴간 점집 | 중앙일보
- 하이브 걸그룹 멤버 커밍아웃…"동성애자인 나, 부끄럽지 않다" | 중앙일보
- 신기루, '자택서 쇼크 사망' 가짜뉴스에…"천벌받아 마땅" 분노 | 중앙일보
- 강형욱 "보름만에 13㎏ 빠지고 탈모"…갑질 논란 후 근황 깜짝 | 중앙일보
- 음란채팅 뒤 "혹시 나 잡혀가나"…매일 통신조회 하는 '덜덜이'들 | 중앙일보
- 고급 오피스텔서 어이없는 죽음…그 사업가 '수상한 이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