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돈 노인 복지에 다 쓸 판”…MZ 80% “노인 기준 연령 높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가운데 MZ세대 10명 중 8명은 현재 만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명 중 1명은 복지비용 증가로 인한 재정 부담을 이유로 노인 연령 상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MZ세대는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하지 않을 경우 노인 복지비용의 증가세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응답자 81% “70세 이상이 적절”
복지 비용 증가 사회적 부담 우려
70%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여야”
매일경제가 MZ 미디어 플랫폼 ‘어피티’와 함께 이달 9∼12일 20~40대 남녀 378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78.1%는 노인 기준 연령을 지금보다 높여야 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건강 상태가 이전보다 좋아졌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8.2%로 가장 많았고, ‘복지비용 증가로 재정 부담 우려’(31.7%), ‘취약계층의 복지 공백을 메우는 게 우선’(7.9%)이라는 응답 순이었다.
노인 기준 연령 상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미래 세대인 20~4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노인의 기준이 되는 65세는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된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법 제정 당시 기대수명은 66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82.7세까지 늘어나면서 당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연령을 상향할 경우 ‘만 70세 이상’이 적정하다는 답변이 81.5%로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이라고 답한 비중도 21.5%나 됐다.
특히 MZ세대는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하지 않을 경우 노인 복지비용의 증가세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노인복지 혜택인 지하철 무임승차 대상 연령을 상향하는 것에 대해 MZ세대의 70.3%가 ‘동의한다’고 답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툭하면 “월급 올려달라” 아우성…기업 나가라고 등 떠미는 한국 - 매일경제
- “하루 아침에 수천명 잘렸다”...GM철수 트라우마 다시 떠올리는 이곳 - 매일경제
- 두루마리 화장지 중심에 둥근 관…근데 그거 뭐지? [그거사전] - 매일경제
- 삼성전자 급등 배경은… 반도체 테마주도 일제히 상승 - 매일경제
- “아쉬움도, 걱정도 없습니다”...비상계엄 수사 주도한 국수본부장 퇴임사 들어보니 - 매일경제
- 100m 절벽서 “꽝”…사람 살린 현대차·기아, 우연 아닌 실력 뽐냈다 [최기성의 허브車] - 매일경
- “美 F-35 전투기 구매 재검토한다”…캐나다, 트럼프 압박 대응 나서나 - 매일경제
- [단독]1년에 3억씩 쇼핑하는 20대…이 백화점선 수백명씩 볼 수 있다고? - 매일경제
- 삼성전자, 장 초반 급등…엔비디아 ‘GTC 2025’ 영향 - 매일경제
- 김혜성, 1250만 달러 계약 덕분에 빅리그행? 다저스는 더 비싼 선수도 버렸다 [김재호의 페이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