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전쟁 본격화에 수출 비상…조선업 돌파구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4일(현지시간) 발효 예정인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강행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중국에 대한 관세도 10% 더 올려 총 20%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일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한 달간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4일부터 실시할 것임을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조선 대미투자·기술이전 협상카드 활용 목소리↑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4일(현지시간) 발효 예정인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강행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중국에 대한 관세도 10% 더 올려 총 20%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멕시코, 캐나다 현지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기업의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가 미중 무역갈등으로 심화될 경우 대중 수출 둔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일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한 달간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4일부터 실시할 것임을 밝혔다.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결이 미국에 손해를 발생시킨다고 판단한 셈이다.
USMCA에 따르면 캐나다·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해 각각 연간 260만대·240만대에 한해 관세를 면제하는데 4일부터는 25% 관세를 부과하게 되는 만큼 멕시코 등에 진출한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다는 의견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USMCA 협정에 따라 무관세 혜택을 활용해 자동차·가전 분야를 중심으로 멕시코에 활발히 진출한 상태다. 캐나다의 경우 이차전지 기업들의 활발한 투자가 이뤄진 바 있는데 이들 기업들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정부도 난감한 상황이다. 해외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단기 유동성 지원, 물류·통관 지원 등을 추진할 수 있지만 해외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중국에 대한 20% 관세 부과도 한국 수출에 고민거리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간한 '공급망 연계성을 고려한 대중국 수출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에 고율의 관세 부과시 한국의 대중 수출 연계 생산은 6% 이상 감소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대(對)중국 수출액으로 1339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미중 무역갈등이 본격화되면 중국의 수출 둔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나라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예상이다.
일각에선 한미간 정상급 회담이 실시되는데 시간이 필요한 만큼 현 상황에선 조선 부문에서의 협력을 지렛대 삼아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우리나라 입장을 전달하고 향후 미국의 정책 방향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해군 군함 건조 및 유지·보수·정비(MRO)를 언급했을 정도로 미국이 우리나라와의 조선업 협력 강화를 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조선업계에서도 한미 조선업 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모습이다. 한화오션은 미국 필리조선소를 지난해 인수하며 미국 해군 함정 건조와 함정 MRO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HD현대는 지난달 미국 허드슨연구소가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해 미국의 조선업 기반 재건하는데 역할론을 강조하며 미국 내 투자 기회를 검토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
업계에선 최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해 한미 조선 협력 강화를 위한 실무협의체를 개설키로 합의한 만큼 조선산업 역량 강화와 협력 방안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고 예상한다.
정부로서는 이 채널을 통해 미국의 협력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다양한 한미간 산업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데 총력전을 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자국 조선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인 만큼 우리나라 조선사들의 미국 내 투자와 기술이전 등은 중요한 협상 카드로 활용될 소지가 높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