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헌의 히스토리 인 팝스] [248] 비행기 사고

강헌 음악평론가 2025. 2. 2. 23: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dith Piaf ‘Hymne A L’amour’(1950)
Edith Piaf, ‘Hymne A L’amour’ (1950)

2024년 말과 2025년 초에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연이어 일어난 비행기 사고로 지구촌은 슬픔에 잠겼다. ‘공항으로 운전하는 일이 항공기를 타는 것보다 위험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운송 수단 중에서 비행기가 가장 안전하다는 것은 여러 통계에서 입증되지만, 사고 한 번이 비극적인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치명적이다.

2023년 1년 동안 항공기 3770만여 대가 운항했는데 인명 사고는 네팔 카스키 지구에 추락하면서 7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예티항공 사고 단 한 건이었다. 하지만 40년 전인 1985년은 100명 이상이 사망한 항공기 사고가 무려 4건이나 일어난 비극적인 해였다. 특히 일본항공 123편 보잉 747기 사고는 사망자가 무려 520명이나 되는, 단일 항공기 사고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대형 참사였다.

1년 내내 순회 공연을 다녀야 하는 뮤지션은 비행기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이가 적지 않다. 1959년 ‘La Bamba’로 순식간에 알려진 17세의 로큰롤 아이돌 리치 밸런스와 록음악의 혁명아였던 버디 홀리가 탄 비행기가 추락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돈 매클레인은 그의 대표작 ‘American Pie’에서 이날을 ‘음악이 죽은 날’이라고 표현했다.

이 사건이 있기 10년 전인 1949년 미국으로 가던 비행기가 대서양에 추락했다. 그 비행기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바이올리니스트로 추앙받던 서른 살의 지네트 느뵈가 타고 있었다. 그리고 샹송 여제 에디트 피아프 생애의 연인이자 세계 미들급 복싱 챔피언이었던 마르셀 세르당도 타고 있었다.

‘La Vie en Rose’와 더불어 역시 불멸의 ‘사랑 찬가’가 된 이 노래는 이 연인을 위해 피아프가 작사한 노래로 이듬해 발표해 전 세계적 찬사를 받았다. “우리에겐 우리만의 영원함이 있을 거예요/ 저 무한한 푸른 하늘에선 말이죠/ 하늘 위에선 더 이상 아무 문제도 없어요/ 신은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다시 만나게 하니까요(Nous aurons pour nous l’éternité/dans le bleu de toute l’immensité/dans le ciel, plus de problème/Dieu réunit ceux qui s’aiment).”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