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감당 안 돼"…'영끌족' 임의경매 쏟아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을 담보로 빌린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경매시장에 나온 '임의경매' 물건이 쏟아지고 있다.
전국 집값이 최고가를 찍은 2021년께 집을 구한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산 사람) 매물이 경매시장에 등장해 지난해 경매 신청 건수는 2013년 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동 고급 주상복합단지인 아이파크삼성 전용 269㎡도 주택담보대출을 갚지 못해 경매시장에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3년 이래 역대 최고
영끌족 매물 경매로 나와
강남 낙찰가율마저 하락
매수 우위 시장될 거란 전망도
부동산을 담보로 빌린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경매시장에 나온 ‘임의경매’ 물건이 쏟아지고 있다. 전국 집값이 최고가를 찍은 2021년께 집을 구한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산 사람) 매물이 경매시장에 등장해 지난해 경매 신청 건수는 2013년 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처럼 1년에 한두 건 뜨던 인기 재건축 아파트조차 경매시장에 줄지어 나오고 있다.
○은마·압구정현대 줄줄이
1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임의경매 신청한 부동산(건물·토지·집합건물)은 13만9869건으로 집계됐다. 2013년(14만8701건) 후 최대 규모다. 2023년 전체 임의경매 신청 건수(10만5614건)를 크게 웃돌고, 2022년(6만5586건)과 비교하면 두 배 수준에 이른다.
부동산값이 크게 오른 2021~2022년 담보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매입한 영끌족 매물이 경매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임의경매는 채권자가 부동산을 담보로 빌려준 돈을 받는 법적 절차다. 시중은행 등 금융권에선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을 연체하면 임의경매 절차에 들어간다. 강제경매와 달리 별도 재판을 거치지 않고 바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할 수 있다.
강남권 등 인기 지역 임의경매 물건도 잇따르고 있다. 대치동 재건축 단지인 은마아파트가 대표적이다. 은마아파트는 2023년 통틀어 단 두 건만 경매시장에 나왔고 그마저도 바로 취하됐다. 올해는 벌써 세 건(1월 두 건, 2월 한 건)이 경매 매각일을 앞뒀다.
강남구 압구정 현대4차 전용면적 118㎡짜리도 최근 임의경매로 나왔다. 집주인 채권 총액이 69억원에 이른다. 삼성동 고급 주상복합단지인 아이파크삼성 전용 269㎡도 주택담보대출을 갚지 못해 경매시장에 나왔다. 경매 기일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강은현 법무법인 명도 경매연구소장은 “경매 신청 건수가 월평균 1만 건씩 이뤄지는 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이라며 “올해 2~3분기 경매 물건이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남마저 낙찰가율 90%대
부동산 경기 선행지표로 불리는 경매시장은 모든 지표가 우하향하고 있다. 대출 규제 등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탄핵 국면까지 겹쳐 설상가상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경·공매 데이터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39.8%로 전월(48.3%)보다 8.5%포인트 떨어졌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도 지난해 11월(94.9%)보다 3.1%포인트 내린 91.8%를 기록했다.
그동안 서울 평균 낙찰가율을 끌어올린 강남 지역 아파트 매수세마저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강남 3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94.6%로 11월(102.4%)보다 7.8%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월(86.7%) 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그동안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외곽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내림세를 보였지만 강남 3구가 높게 유지돼 서울 평균 낙찰가율을 끌어올렸다”며 “올해 시중은행 금리가 내려가지 않고 정치적 불확실성도 커진 만큼 상반기까지 매수 심리 위축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안 경매시장에서 매수자 우위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강 소장은 “핵심 입지 물건이 계속 나오기 때문에 수요자는 조바심을 낼 필요가 없다”며 “경매 개시 시점과 매각일에 7개월 정도 시차가 있어 경매 물건이 터져 나오면 전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보다 많이 샀다…외국인들 8500억 쓸어담은 종목 [종목+]
- "1400만원이 46억 됐다"…11년 버틴 개미의 계좌 인증
- "빚만 69억, 더는 못 버티겠다"…'영끌족' 줄줄이 백기
- "30만원인데 없어서 못사요"…대기업도 결국 뛰어들었다 [이미경의 인사이트]
- "일본車 다 망할 판" 역대급 위기…중국서 무슨 일이 [김일규의 재팬워치]
- "다낭에 한국인 엄청 많더니 지금은…" 베트남 '비명'
- "요즘 누가 마트 가요?"…돈 많은 5060 열광하더니 결국
- 시진핑 민망하겠네…"중국 갈 바에 차라리 한국으로" 처참
- 삼성전자보다 많이 샀다…외국인들 8500억 쓸어담은 종목 [종목+]
- "순식간에 300만원 쓰고 왔어요"…日 다녀온 직장인 '허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