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파트너 찾아라"…바이오 기업들, 내주 샌프란시스코 총출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수장들이 다음 주 일제히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오는 13~16일(현지시간)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 투자 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JPMHC)'에 참석해 해외 투자 유치와 기술 이전 등 외부 협력을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삼성·롯데바이오 수장들, 현지서 사업 성과·비전 발표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수장들이 다음 주 일제히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오는 13~16일(현지시간)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 투자 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JPMHC)'에 참석해 해외 투자 유치와 기술 이전 등 외부 협력을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로 43회째를 맞는 이번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엔 550여개 기업, 8000명 이상이 참석할 예정이다. 매년 1월 열리는 이 행사에선 글로벌 빅파마 등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최신 연구 흐름과 사업 계획, 바이오 투자의 방향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올해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헬스케어 관련 정책에 대한 전망뿐 아니라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바이오·제약산업 관세정책 등의 향방과 이에 대비하는 주요 기업들의 대응 전략 등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국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9년 연속 JP모건으로부터 공식 초청을 받아 행사의 메인 트랙에서 발표한다. 존 림 대표가 올해 사업 계획과 중장기 비전, 기업 성장 배경에 대해 직접 소개하고, 행사 기간 내내 투자자 및 잠재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만의 차별된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력을 알리며 사업 확대를 위한 네트워킹에 주력할 계획이다.
셀트리온도 서정진 회장과 장남 서진석 경영사업부 대표이사 등이 현장 발표에 나선다. 현재까지 진행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개발 성과를 알리고, 2028년까지 계획된 9개의 항체 약물 접합체(ADC) 신약과 4개의 다중항체 신약 등 총 13개의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일정을 공개한다. 셀트리온은 미국 시장에 안착한 신약 '짐펜트라'를 기반으로 신규 모달리티를 활용한 본격적인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현장 발표 기업으로 선정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에서는 이정규 대표가 연단에 오른다. 이 대표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 등 회사의 주요 연구개발 과제를 소개하고 향후 기업 성장 전략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기술이전 계약 타진을 위한 협의에도 나선다.
롯데바이오로직스에서는 제임스 박 신임 대표가 송도 바이오캠퍼스 건설 현황 및 뉴욕 시러큐스바이오 캠퍼스 ADC 생산시설 등을 소개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의약품 12만ℓ 생산 규모의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을 내년 1분기에 완공하는 등 오는 2030년까지 3개의 메가 플랜트 조성 및 총 36만ℓ 규모의 항체의약품 생산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국내 37호 신약이자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를 개발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글로벌 제약사 및 투자사와 미팅을 갖고 신약 파이프라인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이미 해외 21개국에 기술수출을 완료한 자큐보의 성과를 글로벌 시장에 알리는 한편,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항암 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의 글로벌 진출도 노린다.
지난해 미국에서 보툴리눔톡신 제제 '레티보'가 허가를 받은 휴젤도 글로벌 투자자들 앞에서 지역별 진출 현황 등을 발표한다. 휴젤은 미국, 유럽, 중국 등 글로벌 3대 톡신 시장에 모두 진출한 데 이어 앞으로 중동·북아프리카 등까지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천 명 옮겨올 수도 있대"…'거래량 급증' 집값 꿈틀거리는 이 동네 - 아시아경제
- 체력검사 도중 실신한 여성, 구급차서 집단성폭행…발칵 뒤집힌 인도 - 아시아경제
- "복권 당첨된 것처럼 놀랐어요"… 위기 자영업자 돕는 '살핌기금'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식사 맛있게 하셨어요?" 묻더니 당황스럽네…여의도 등장한 '이것' - 아시아경제
- 악취에 액체 흐르는 아들 유품 상자…열어본 美 부부 '경악' - 아시아경제
- "잠 좀 자게 닥쳐" 한마디에 아수라장…중국인들 기내 집단 난투극 - 아시아경제
- 폭염 '지긋지긋' 휴가 여기로?…'15.2도' 추운 여름 "점퍼 입고 머플러 둘러요" - 아시아경제
- "속옷도 에센스도 1000원짜리가 좋아"…'일회용품' 유행처럼 소비하는 中 Z세대 - 아시아경제
- 멈춰선 공사장…생활고에 매몰된 노동자들 - 아시아경제
- '흑백요리사' 표절하더니…中 예능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