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음 60억 못 막아" 결국 법정관리...줄도산 공포에 떠는 건설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로 알려진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에 '줄도산 공포'가 다시 엄습하고 있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은 전날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동아건설은 시공능력평가 58위의 중견 건설사다.
업계 관계자는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은 업계가 처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중형 건설사에서 추가로 도산 업체가 나온다는 소문이 멈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로 알려진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에 ’줄도산 공포‘가 다시 엄습하고 있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은 전날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동아건설은 시공능력평가 58위의 중견 건설사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해 말 60억원의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가 난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현금유동성 문제로 지난달 말 만기가 돌아온 60억원가량의 어음을 막지 못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며 "특정 사업장의 문제는 아니고 공사비 상승과 미수금 증가, 책임준공 채무부담 등 악재가 겹친 복합적인 문제"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리스크가 신동아건설 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대형은 물론 중견 및 중소 건설사들도 같은 이유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은 업계가 처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중형 건설사에서 추가로 도산 업체가 나온다는 소문이 멈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시행사 도산, 시공사 채무인수 및 부도, 신탁사 파산 등이 더 현실화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라고 부연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 건설업체가 30곳이다. 이는 5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로, 대부분이 지방업체들이었으나 올해 들어 서울 등 수도권으로 상경하는 모습이다.
한편 건설사들의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공사비 폭등으로 원가율은 계속 오르는 가운데 수주와 건설공사 계약액 등 주요 지표는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ljb@fnnews.com 이종배 성석우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즈원 크리스탈, 이민 발인 후 "완전히 무너져"
- '음주운전' 송영규, 생전 우울함·무기력증 호소 "악순환 이어졌다"
- 슈 "남편이 빚 수억 변제"…임효성 "떨어져 살기도, 슈 살려야겠다는 생각 밖에"
- "거의 할리우드다"..홍진경, 합의 이혼 뒤늦게 발표한 이유
- "영업 끝난 카페 앞서 어린 커플이 유사성행위…CCTV 포착"
- "절친 형부가 내 동료랑 불륜 중…나만 알고 있어야 하나요?"
- 구혜선 "전남편 안재현 비겁, 이혼 소비 멈춰라"
- 아내 성추행에 흉기 협박한 시댁 식구…충격 일화 '경악'
- "그 때 쓴 각서 다 무효야!"…신혼 초부터 바람 핀 남편의 '적반하장'
- 인천서 지병 앓던 20대 남성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