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LFP 배터리 제조기술 수출 통제 움직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중 무역 갈등 고조 속에 중국이 배터리 제조기술을 수출 규제 대상에 추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리튬인산철(LFP)과 리튬인산망간철(LMFP) 배터리와 양극재 제조 기술을 수출 금지 또는 제한 대상 목록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류은주 기자)미중 무역 갈등 고조 속에 중국이 배터리 제조기술을 수출 규제 대상에 추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리튬인산철(LFP)과 리튬인산망간철(LMFP) 배터리와 양극재 제조 기술을 수출 금지 또는 제한 대상 목록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상무부는 갈륨과 리튬을 금속에서 추출하는 일부 기술과 공정에 대한 규제 강화도 검토하고 있다. 리튬은 배터리 양극을 이루는 주요 소재 중 하나로 양극재 원가 중 60∼70%를 차지하는 핵심 소재다.
상무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안을 대중에게 공개한 후 내달 1일까지 의견을 받을 예정이다.
블룸버그는 한달 전 중국이 첨단·군사적 용도를 가진 여러 소재에 대한 금지 조치를 발표한 데 이어 추가적인 기술 수출 제한 조치가 이뤄진 것을 두고 미국 정부의 중국 기술 규제 강화에 맞대응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은 갈륨, 게르마늄 등 전략 자원 미국 수출을 금지했으며, 배터리 음극재인 흑연도 엄격한 통제 하에 두고 있다.
중국은 수십 가지 주요 광물의 세계 최대 공급국이다. 작년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에 초기 규제를 가한 이후 미국 내에서는 중국 광물 지배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같은 금속은 반도체에서 위성, 야간 투시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류은주 기자(riswel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中 무역 보복, 더 많은 원자재로 확대될 수도"
- 美, ‘차세대 배터리’ 선점 야심…나트륨·플로우 개발 지원
- 美 흑연업계, 中 경쟁사에 920% 관세 부과 요청
- 中, 대미 흑연 수출 통제 강화…K-배터리 '촉각'
- 中, 갈륨 등 반도체 원자재 美 수출 금지
- "내 폰에 도청장치?"…뜬금없는 이 광고·콘텐츠 왜 뜰까
- 소비쿠폰 중고거래 불법…정부 "적발 시 전액 환수·형사처벌"
- 온·오프 경계 넘은 유통업계…이젠 ‘연결 경험’에 집중
- "예측 가능한 미래는 만드는 것"…기아 PV5가 만드는 PBV의 미래
- 김두호 퀄리타스반도체 대표 "올 하반기 PCIe·UCIe IP 수주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