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각 시황] 뉴욕증시, 기술주 랠리…HBM 관련주 상승세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이 시각 시황' - 장연재
이 시각 시황입니다.
크리스마스 선물을 미리 주는 것인지 오늘(24일) 양시장 연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0.29% 올라가면서 현재 2,450선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코스닥 0.77% 추가 상승하면서 684선 가리키고 있습니다.
수급상황 보겠습니다.
외국인 매수세가 연속적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외국인 517억 원 매도우위, 기관 역시 191억 원 팔자 포지션 취하고 있습니다.
개인만 홀로 693억 원 순매수하고 있습니다.
코스닥 시장 매매 동향입니다.
외국인이 192억 원 팔자 포지션, 기관도 82억 원 매도우위 기록 중입니다.
개인만 홀로 399억 원 순매수 기록 중입니다.
등락률 상하위 업종입니다.
오늘 비철금속, 생물공학, 통신 장비 업종이 상승률 상위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반면 디스플레이패널, 가스유틸리티, 전기장비 업종은 하락폭이 큰 것으로 집계됩니다.
그럼 시장을 주도하는 테마, 종목별 시세 체크하겠습니다.
오늘 반도체 관련 섹터들이 전반적으로 강한 모습 보여줍니다.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3% 넘게 상승하는 등 반도체주 전반적으로 좋았던 데 따른 것입니다.
더불어서 브로드컴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인 HBM4 공급을 대량으로 요청했다는 소식이 오늘까지 호재 작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뉴로모픽 반도체입니다.
관련주 내에서는 자람테크놀로지가 7.4% 강세로 거래가 52,600원입니다.
에이직랜드가 3% 가까이 올라가면서 37,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네패스아크가 1% 대 오름세,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강세 보여주고 있습니다.
네패스가 1.3% 상승세 기록 중입니다.
고대역폭 메모리, HBM 관련주도 어제(23일)부터 양호한 흐름 이어갑니다.
관련주 내에서는 예스티가 2.2% 강세 보이면서 현재 거래가 9,640원입니다.
피에스케이홀딩스가 0.15% 소폭의 오름세, 제우스가 1.68% 올라가면서 11,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윈팩이 0.15% 소폭의 강세, 이오테크닉스가 1.24% 상승하면서 현재 거래가 139,300원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더불어서 유리기판 섹터도 강세 기록 중입니다.
최근에 브로드컴, 인텔, AMD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차세대 기판인 유리 기판을 도입한다는 소식 보도되면서 시장에서 AI 반도체 쪽이 강할 때 동반 상승하는 모습 보여줍니다.
제이앤티씨가 3.39% 강세로 거래가 20,150원입니다.
필옵틱스가 1.64% 올라가면서 19,830원입니다.
켐트로닉스가 2.5% 강세 보이면서 거래가 16,800원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미래컴퍼니가 0.3% 오름세, 에프엔에스테크 3.82% 강세 보여주면서 8,15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철금속 관련주도 올라갑니다.
특히 풍산 그룹주가 좋습니다.
류진 풍산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에 초청을 받았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풍산홀딩스가 8.64% 올라가면서 28,3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풍산이 5% 가까운 강세 보이면서 현재 거래가 53,100원입니다.
남선알미늄이 2.76%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구산업이 1.74%, 국일신동이 2% 가까 상승세 보이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이아몬드 40% 폭락, 이유는?
- '이 시국에 누가 돈 쓰겠습니까'…고꾸라진 소비심리
- 韓 1인당 GDP, 日 앞섰다는데…"나만 체감 안되나"
- 9호선 연장 '강동하남남양주선' 계획 승인…2031년 개통
- '20만달러 간다더니' 비트코인 9만2천달러…"더 하락"
- 워런 버핏, 현금만 470조 쌓아뒀다…버핏 지수 '대공황' 당시 수준
- 스타벅스, 한국만 비싼가?…지난해 환율기준 세계 중하위권
- 환율 고공행진에 환전도 급증…일평균 1천만달러 넘어
- 소비자, 여행플랫폼에 불만…"연락두절에 오버부킹"
- 서울시 "인터넷쇼핑몰 사기 피해액 33.6억…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