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벨,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맞춤형 HBM 솔루션'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마벨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협력, '맞춤형 고대역폭메모리(HBM) 솔루션'을 개발했다.
마벨은 기존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HBM 아키텍처가 AI 가속기 성능을 뒷받침 하지 못하고 있다며 맞춤형 HBM 구조 개발 배경을 소개했다.
마벨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개발한 맞춤형 HBM 구조는 기존 표준 규격과 견줘 소비 전력을 최대 70% 낮출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마벨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협력, '맞춤형 고대역폭메모리(HBM) 솔루션'을 개발했다. 표준 HBM 구조 대비 소비 전력을 줄이고, 경박단소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마벨은 11일 인공지능(AI) 가속기 효율을 끌어 올리는 새로운 HBM 컴퓨팅 아키텍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AI 메모리로 꼽히는 HBM은 그래픽처리장치(GPU)나 신경망처리장치(NPU)와 결합, AI 가속기라 불리는 AI 반도체를 구현하는 핵심 요소다.
마벨은 기존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HBM 아키텍처가 AI 가속기 성능을 뒷받침 하지 못하고 있다며 맞춤형 HBM 구조 개발 배경을 소개했다. 전력 소비와 칩 크기, 비용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마벨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개발한 맞춤형 HBM 구조는 기존 표준 규격과 견줘 소비 전력을 최대 70% 낮출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또 칩 크기는 줄이면서도 33% 많은 HBM 적층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칩이 차지하는 공간도 25% 줄일 수 있다.
마벨은 새로운 HBM 구조로 클라우드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 가속기 메모리 용량과 대역폭을 크게 확장, 데이터 전송 및 처리 속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마벨 측은 “특정 성능, 전력 및 총 소유 비용에 맞게 HBM을 조정, AI 가속기를 개선한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K하이닉스, 'AI 반도체 패키징' 신사업 추진
- 野, 12일 두 번째 尹 탄핵안 발의…“새 내란 사실 추가”
- [탄핵정국]우원식 “비상계엄 국정조사 추진”… 與 “판례상 고도의 통치 행위”
- 망분리 개선 정책, 'MLS'서 'N²SF'로 간판 바꿨다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의정부시' 참여…경기북부 지역 연결
- [KETI 혁신기술] 〈2〉 “산성 물질 사용 無”…친환경 비산화 그래핀
- '티메프 사태' 구영배·류광진·류화현 불구속 기소
- K바이오, 올해 FDA 희귀의약품 16개 지정…글로벌 경쟁력 강화
- [기후테크 솔루션데이 2025]과학적 탄소중립 이행 기초 확립 구축…국제 협력·적용분야 확대 속
- [기후테크 솔루션데이 2025] 17대 탄소중립 기술, 글로벌 R&D 전략지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