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테크, 사용 후 배터리 자동이송시스템 공급계약 수주… 33억원 규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테크는 경북테크노파크와 사용 후 배터리 평가 장비 공급 및 자동이송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민테크는 이번 계약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으로 사용 후 배터리 성능 평가 가능 수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민테크는 2025년까지 경북테크노파크에 자동화시스템 구축을 마치면 사용 후 배터리 성능 평가 가능 대수를 하루 평균 150대, 1년간 3만대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테크는 경북테크노파크와 사용 후 배터리 평가 장비 공급 및 자동이송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5년 1월까지, 금액은 33억원 규모다.
해당 사업은 입고된 사용 후 배터리의 이동 및 적재 보관, 성능평가, 등급 분류, 출고에 이르는 전체 과정에서 일체 사람의 손이 필요 없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사업 주체는 경상북도와 포항시, 수요기관은 경북테크노파크다.
이번 계약은 환경부가 주관하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 설비구축사업’의 3차연도 사업인 ‘사용 후 배터리 자동평가 전 공정 및 자동이송시스템’ 사업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경북테크노파크는 2025년 말까지 운용기술 체계 고도화와 성능평가에 대한 표준절차를 만들고 결과를 제도화한다. 전체 사업에서 민테크는 성능평가 및 등급 분류를 위한 장비 일체를 공급하고, 전체 시스템의 구축을 담당한다.
현재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는 수거-성능평가-보관-매각의 단계를 거쳐 재사용 및 재활용 기업으로 보급되는 단계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평가는 팩 및 모듈 단위에서 충방전을 통한 전수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민테크는 이번 계약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으로 사용 후 배터리 성능 평가 가능 수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당장 2026년부터 사용 후 배터리는 4만2000대 분량까지 늘어나지만, 성능평가 가능 수량은 9600대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2030년에는 17만8000대의 사용 후 배터리 발생이 예상되는 반면 성능평가 가능 수량은 1만9400대에 불과하다.
민테크는 2025년까지 경북테크노파크에 자동화시스템 구축을 마치면 사용 후 배터리 성능 평가 가능 대수를 하루 평균 150대, 1년간 3만대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재훈 민테크 사업본부장은 “민테크의 EIS(전기 화학 임피던스) 기반 배터리 진단기술로 15분 이내에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평가 및 등급 분류를 완료해 시간과 비용을 크게 낮추고, 자동 이송 시스템을 통해 공간 부족 문제 및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경 3900원·티셔츠 5000원... ‘패션계 다이소’ 초가성비 매장 뜬다
- [단독] GS건설 청계리버뷰자이 현장서 추락사고…50대 근로자 1명 사망
- 정부 믿고 뽑았는데… 마약 양성자에 팔 부러져 입국하기도
- 대형 새마을금고마저 휘청… 총자산 상위 50곳 중 11곳 ‘자본잠식’
- 한국어 못 하는 외국인 근로자… 220만원 주면 대리 시험
- “노사 갈등에 신작 출시 지연되나”… 노란봉투법에 긴장하는 게임업계
- ‘주가, 오르는 종목이 더 오른다?’ 삼양식품과 농심의 엇갈린 목표주가
- “1200만원에 빈 집 팝니다” 한국판 ‘빈 집 은행’ 가동…연말 도심 거래 확대
- 신기술 도입 없는 韓 택시산업, 자율주행 시대 충격 불가피… 한은 “구조개혁 시급”
- [르포] “보잉도 홀렸다”...K항공·방산 中企, 로봇으로 생산성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