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 "최저임금 수준 임금 탓에 청년공무원 공직 떠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무원 노동조합들이 청년 공무원들의 공직 이탈을 막기 위해 공무원 임금과 각종 수당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생활물가가 지속해 오르고 있지만 공무원은 낮은 임금 인상률로 인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며 "공직사회의 미래인 청년 공무원들도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 탓에 공직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공무원 노동조합들이 청년 공무원들의 공직 이탈을 막기 위해 공무원 임금과 각종 수당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민주우체국본부, 교육청노동조합연맹, 전국경찰직장협의회는 6일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공무원 임금 인상 쟁취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생활물가가 지속해 오르고 있지만 공무원은 낮은 임금 인상률로 인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며 "공직사회의 미래인 청년 공무원들도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 탓에 공직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망의 직업이었던 공무원·교원은 낮은 임금, 악성 민원, 열악한 근무조건으로 이제는 생존을 얘기해야 하는 신세로 전락했다"며 "'공무원은 철밥통'이라지만, 막상 밥통엔 밥이 없어 아르바이트나 투잡이라도 하게 해달라는 청년 공무원들의 요구가 나온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소불위의 칼을 휘두르는 기획재정부는 공무원보수위원회(위원회)의 결정마저도 무력화하고 공공부문의 예산을 삭감해 행정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가져오고 있다"며 "자문기구에 불과한 현재의 위원회를 실질적인 결정 권한을 가진 기구로 바꾸고, 위원회에서 결정된 사항이 예산에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들은 ▲ 공무원 임금 기본급 31만3천원 정액 인상 ▲ 하위직 정근수당 인상 ▲ 점심값 1만원을 위한 정액 급식비 8만원 인상 ▲ 직급 보조비 3만원 인상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공직사회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그 출발점은 올해 위원회에서 노동조합의 핵심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shlamaze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쇼츠] "내 몸 만지지 마!"…대왕오징어의 분노 | 연합뉴스
- 제주도보다 비싼 울릉도 물가…3일 여행에 100만원 훌쩍 | 연합뉴스
- 스위스서 속도위반 수천억대 자산가, 최대 1억5천만원 벌금폭탄 | 연합뉴스
- 전처에 복수하려 아들 가족 몰살 시도…사제총기 살해범 기소(종합) | 연합뉴스
- 인천해경, 해변서 길 묻는 60대 무차별 폭행한 20대 구속 | 연합뉴스
- 부산 송도 해수욕장서 60대 여성 변사체 발견 | 연합뉴스
- 미용 목적으로 찾아온 환자에 상습적으로 피부질환 진단서 발급 | 연합뉴스
- 인천공항 내린 줄 알았더니 김포…놀란 승무원도 승객에 되물어(종합) | 연합뉴스
- '통역사 강제추행' 日아이돌 멤버 홍콩 법원서 벌금형 선고 | 연합뉴스
- 회사에 불법카메라 설치해 여직원 촬영한 40대 붙잡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