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삼성전자 HBM칩, 엔비디아 테스트 통과 못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미국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5세대인 HBM3E를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위해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로이터는 "삼성은 지난해부터 HBM3와 HBM3E에 대한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하려고 노력해 왔다"며 "최근 삼성의 8단 및 12단 HBM3E 칩에 대한 테스트 실패 결과가 4월에 나왔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미국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이용해 “발열과 전력소비 문제로 인해 엔비다아의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5세대인 HBM3E를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위해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승인 시간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
로이터는 “삼성은 지난해부터 HBM3와 HBM3E에 대한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하려고 노력해 왔다”며 “최근 삼성의 8단 및 12단 HBM3E 칩에 대한 테스트 실패 결과가 4월에 나왔다”고 했다. 이어 로이터는 “문제가 쉽게 해결될 수 있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지만 엔비디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삼성의 경쟁사인 SK 하이닉스보다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했다.
HBM은 D램 여러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용량과 처리속도를 높인 반도체다.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끊임없이 처리해야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동하려면 HBM이 필요하다. HBM은 SK하이닉스가 2013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앞서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월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에서 삼성전자를 “비범한 기업”이라며 “삼성전자의 HBM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로이터에 HBM은 ‘고객 요구에 따른 최적화 프로세스’가 필요한 맞춤형 메모리 제품이라며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품 최적화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hy] 점점 낮아지는 소주 알코올 도수… ‘사실상 가격 인상’ 비판 이유는
- [100세 과학] 50세 전후로 노화 속도 빨라진다
- “조선업 안좋게 봤나” 대한조선 임직원들은 왜 우리사주를 96.7%나 실권했을까
- [뉴테크] 치아 사이에 스윽, ‘백신 치실’ 나왔다
- [정책 인사이트] 24시간 일하는 ‘AI 공무원’… 꺼진 불 다시 보고 어르신 건강 챙기고, 흡연 단
- [재테크 레시피] 1억원까지 안전한 3%대 정기예금? 저축은행에는 있다
- ‘게하’로 오세요…호텔비 아끼는 ‘꿀팁’된 강남 아파트 단지들
- ‘K아이스크림’ 올해 수출 첫 1억달러 돌파 전망... ‘일등 공신’ 빙그레를 보는 두 가지 시선
- ‘소상공인 발’ 1t 트럭 판매량 외환위기 이후 최저
- 대출 조이자 ‘완판’ 아파트도 취소 속출…‘마피’ 분양권도 속속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