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광주·전남 대학 신입생 11.8% 중도 탈락…매년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전남 지역 일부 대학의 신입생 중도 탈락 비율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민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지역 대학교 신입생 중도 탈락 현황을 분석했다고 12일 밝혔다.
조사 결과 2022년 대학생 신입생 2만1864명 중 11.8%에 해당하는 2570명이 중도탈락 했다.
2021년 9.7%, 2020년 6.4% 등 신입생 중도 탈락 비율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주장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광주·전남 지역 일부 대학의 신입생 중도 탈락 비율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민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지역 대학교 신입생 중도 탈락 현황을 분석했다고 12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광주·전남 4년제 일반대학교 21곳, 기간은 2020~2022년이었다.
조사 결과 2022년 대학생 신입생 2만1864명 중 11.8%에 해당하는 2570명이 중도탈락 했다. 2021년 9.7%, 2020년 6.4% 등 신입생 중도 탈락 비율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중도 탈락 사유 중에는 자퇴가 5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미등록 45.2%, 기타 0.3%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학교에 등록하지않아 제적된 미등록 사유의 중도탈락 학생이 2020년 273명, 2021년 805명, 2022년 1161명 등 매년 급속도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민모임은 "일부 대학의 경우 교직원 자녀를 신입생으로 등록할 때 인사가점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모 대학의 경우 학생 충원율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수십억 원대 정부 지원금을 타낸 혐의로 검찰에 넘겨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시민모임은 "신입생 부풀리기가 의심되는 대학에 대한 감사를 진행, 정상적인 학사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교육부에 감사를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ersevere9@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동주, 4살 연하 ♥남편 공개…훤칠한 훈남
- '지드래곤과 열애설' 이주연 "이혼하더라도 결혼해야"
- 금속 목걸이 한 채 MRI실 들어간 60대男…기계에 끌려 숨져
- "애들 자서 더 스릴"…'주말부부' 아내, 평일 밤 태권도 관장과 불륜
- 임수향 "중학생 때부터 명품…슈퍼카는 허세로 샀다"
- 최준희, 96→41㎏ 다이어트 전후 공개 "성형도 살 빼고"
- 헤이지니,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마음 찢어져"
- 결혼 약속한 여친 하반신 마비…사고 낸 남친 잠적
- 박찬호, 세 딸 얼굴 공개…연예인급 미모
- 신지, 문원 논란에 "공황장애 약 먹어…눈도 못 마주치겠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