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엑스레이, 의료기관 밖서도 사용할 수 있게"…복지부 입법예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건복지부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4월30일부터 6월10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최근 개발된 '저선량 휴대용 엑스레이(X-ray) 촬영 장치'가 의료기관 밖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복지부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휴대용 장치의 경우, 이동검진차량에 장착하지 않아도 의료기관 밖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의료기관 외부서 사용 어려워
[서울=뉴시스]권신혁 수습 기자 = 보건복지부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4월30일부터 6월10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최근 개발된 '저선량 휴대용 엑스레이(X-ray) 촬영 장치'가 의료기관 밖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복지부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휴대용 장치의 경우, 이동검진차량에 장착하지 않아도 의료기관 밖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최대관전류 10mA 이하, 무게 6kg 이하 등의 조건을 갖추면 된다.
현행 규칙에서는 엑스레이 등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의료기관 밖에서 사용하려면 이동검진차량에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 휴대용으로 개발된 '저선량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의료기관 외부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복지부는 또 의료기관 밖에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 시 방사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사선량 누설선량 허용한도를 강화했다. 장치 사용자가 지켜야 할 방사선 방어조치도 마련하기도 했다. 출입통제선을 설치하거나 방사선 장해방어용 기구를 사용하는 등의 조치다.
아울러 의료기관이 엑스레이 등을 활용한 순회진료 시 관할 보건소장이 안전관리 상태를 지도 및 감독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CT, 유방촬영용장치의 경우 특수의료장비 등록 시 제출하는 서류를 생략하도록 했다.
보건복지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국민 의견을 수렴해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관련 의견은 2024년 6월10일까지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로 제출하면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살해하겠다" 협박 3건·이준석 1건…경찰 '초비상'
- 이재명 인천 유세 현장서 온열질환자 5명 속출…2명 병원행
- 송은이, 이영자♥황동주 근황 전했다…"연락하고 지낸다"
- 성유리, 남편 구속 4개월만 홈쇼핑 복귀…여전한 미모
- 조세호, '174㎝ 모델출신' 아내와 투샷…신혼 일상 공개
- 블랙핑크 리사, 재벌 남친♥과 이탈리아 데이트 포착
- '마약 논란' 김나정, SNS 활동 재개…팬들 응원에 '좋아요'
- 코요태 빽가 모친상 "지병으로 별세…따뜻한 위로 부탁"
- '암투병' 진태현 "수술 준비 잘 마쳐…걱정 마시라"
- "누구 애인지 몰라"…손흥민 협박녀, 사업가도 동시에 만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