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걱정될 때, ‘이런 운동’ 하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이 뇌에서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호를 줄여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은 우울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두 배 더 효과가 있었다"며 "이를 통해 운동이 뇌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설명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심혈관 영상 연구 센터 연구팀은 신체 활동 데이터가 포함된 ‘매스 제너럴 브리엄 바이오뱅크’ 참가자 5만359명의 의료기록을 이용해 운동과 심혈관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주당 최소 150분의 적당한 운동이나 75분의 격렬한 운동을 한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보다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23% 낮았다.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관련된 뇌 활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을 통해 뇌의 스트레스 중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전두엽피질 기능이 개선되면서 이러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은 우울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두 배 더 효과가 있었다”며 “이를 통해 운동이 뇌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설명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루 술 ○잔, 심혈관질환 위험 낮춘다"
- 좌식 생활 때문에 심혈관질환 걱정되면, 하루 ‘이만큼’ 걸으세요
- 꽃가루 시즌이다… ‘이 시간’에는 창문 닫자!
- [아미랑] 잘 먹는 것만큼 잘 배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학원 끝나면 편의점 ‘국룰’이죠” 청소년 자주 먹는 식품, 당류·나트륨 괜찮을까
- "왜 더 안 빠지지?" 생각 들 때… '네 가지' 시도하면 효과 있다
- 봄, 산책하기 좋은 계절이지만… ‘이런 강아지’는 산책이 병 돼 [멍멍냥냥]
- 하정우도 심장 튼튼하겠지? ‘이 운동’, 부정맥·심방세동 위험 줄인다
- “노출 의상에도, 배 홀쭉” 한예슬… 직접 공개한 ‘다이어트 식단’은?
- [소소한 건강 상식] 중·고등학생들, 왜 얇게 입고 다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