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소변 마려워 깬다면… 'TV 시청 시간' 확인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V를 오랜 시간 시청하는 습관이 야간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점점 화면 기반 활동이 길어지면서, TV 등으로 비디오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이런 환경이 야뇨증 패턴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야간뇨는 밤에 수면 중 소변을 보기 위해 한 번 이상 잠에서 깨는 것으로,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증상이다. 숙면을 방해받아 쌓인 피로가 고스란히 낮 시간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유럽의 한 연구 결과에서 야간뇨가 다른 만성질환보다 노동 생산성은 24%, 여가 시간의 활동성은 34%나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원저우의대 원링병원 비뇨기과 왕 준웨이(Junwei Wang) 교수 연구팀은 야간뇨를 유발하는 생활 습관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 성인 1만 3294명을 분석했다. 실험 참가자 데이터는 2011~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가 이용됐다. 먼저 연구팀은 야간뇨 증상의 유무로 실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눴다. 실험 참가자 중 약 31.2%에 해당하는 4236명이 밤에 화장실을 가기 위해 두 번 이상 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개인 기본 특성을 대조했고, TV와 비디오 시청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석 결과, 하루에 TV나 비디오를 5시간 이상 시청하는 사람은 1시간 미만 시청하는 사람보다 야간뇨를 경험할 위험이 48%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웨이 교수는 "TV 시청이 더 많은 수분을 섭취하게 하고,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야뇨증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TV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도 큰데, 이 질환도 야뇨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점점 화면 기반 활동이 길어지면서, TV 등으로 비디오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이런 환경이 야뇨증 패턴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어 "의료 전문가와 공중 보건 실무자가 환자들을 볼 때 이를 고려해 TV와 비디오 시청 시간을 조절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야간뇨는 TV 시청 외에도 다양한 요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 잘 알려진 주원인으로는 전립선 비대증, 콩팥 결석, 과민성 방광, 특정 의약품, 과도한 수분 섭취, 카페인 과다 섭취 등이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Neurourology and Urodynamics'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인 야뇨증…잠자리에 소변 본 성인 뇌수막염 첫 신호일수도
- ‘이 증상’ 겪는다면, 소변 마려워도 꼭 참아야
- 초파리 트랩 설치하기 전… 한 번쯤 ‘고마운 마음’ 가질 이유
- 입 다물고 있을 때, 혀 ‘여기’에 있으면… “주걱턱 위험”
- 44세 인교진, ‘당뇨 전 단계’ 판정 충격… ‘이 음식’ 많이 먹어서라고?
- 종이 빨대로 마시면, ‘이 음료’ 특히 맛 없다
- “여름에 숙취 더 심하다”… 의사 1000명이 알려주는 ‘술 잘 깨는 법’은?
- “눈에 손댔다” 장윤정, ‘이 시술’로 인상 확 달라져… 뭐였을까?
- 위고비 대항마 ‘마운자로’, 국내 출시 임박했나… ‘8월 출시說’
- ‘숲 치유’하고파도 숲에 갈 수 없을 때… ‘이 방법’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