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분양 쏟아진다… 2000년 이후 최다

김창성 기자 2024. 1. 30. 05: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분양시장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공급이 주가 될 전망이다.

권역별 대단지 분양 비중은 ▲수도권 62.3%(16만5377가구 중 10만3014가구) ▲지방 57.0%(12만7430가구 중 7만2626가구)이며 서울, 경기에서 재개발·재건출 대단지 분양이 각각 3만가구 이상 계획됐다.

올해 분양예정인 대단지 아파트 17만5640가구 중 6만9213가구(39.4%)는 다수의 시공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사업으로 추진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의 60%… 조합 물량 집중돼 실제 일반분양 물량 적을 가능성↑
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분양 물량이 전체의 60% 비중으로 쏟아질 전망이다. 사진은 사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지역. /사진=뉴스1
올해 분양시장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공급이 주가 될 전망이다. 대단지는 주거 편의성이 우수해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컨소시엄 사업이 많아 단독 진행 중소단지에 비해 시공업체 공급 부담도 덜 수 있다.

다만 한꺼번에 대규모 물량이 풀리기 때문에 지역별로 미분양 리스크가 불거지거나 다수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분양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어 청약 시 이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분양예정 물량 가운데 1000가구 이상 대단지 비중은 60%(총 29만2807가구 중 17만5640가구)다.

이는 조사를 시작한 2000년 이래 최대치이며 2023년 48.1%(21만1306가구 중 10만1718가구)와 비교해도 11.9%포인트 높다.

권역별 대단지 분양 비중은 ▲수도권 62.3%(16만5377가구 중 10만3014가구) ▲지방 57.0%(12만7430가구 중 7만2626가구)이며 서울, 경기에서 재개발·재건출 대단지 분양이 각각 3만가구 이상 계획됐다.

2024년 수도권에서 분양예정인 대단지 아파트 중 재개발·재건축 비중은 70%(10만3014가구 중 7만1763가구)로 지방 59%(7만2626가구 중 4만3117가구)에 비해 높다.

올해 분양예정인 대단지 아파트 17만5640가구 중 6만9213가구(39.4%)는 다수의 시공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사업으로 추진된다. 시공사들이 연합해 수주하면 입찰비와 공사비 등 자금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00가구 이상 분양물량 중 컨소시엄으로 짓는 아파트 비중은 2021년 31.8%(14만6255가구 중 4만6492가구)에서 2023년 39.7%(10만1718가구 중 4만423가구)로 높아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공사비 인상, 미분양 위험, 자금조달 문제 등에 따른 건설업 침체 국면에서 리스크 분산이 가능한 컨소시엄 사업지 분양이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조합 내분 등 변수로 일정 지연 여지도 있다"며 "조합원 분을 제외한 물량만 일반분양으로 풀리기 때문에 예상보다 공급량이 적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