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적정 근로 시간은 1주 최대 48시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장인 절반은 주 48시간 이내가 적정 근로시간이라고 답했다.
19일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중 48.3%가 "적정 근로시간은 48시간"이라고 답했다.
고용부 조사에서는 '특정 주 내 최대 근로시간 제한 범위를 1주 60시간 이내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노동자의 75.3%, 사용자의 74.7%로 가장 높았는데, 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상한이 '주 60시간 이내'였단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직장인 절반은 주 48시간 이내가 적정 근로시간이라고 답했다.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응답도 높았다.
19일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중 48.3%가 "적정 근로시간은 48시간"이라고 답했다.
이 설문은 '근로시간 개편으로 1주일에 가능한 최대 근로시간 상한을 새롭게 정한다면 몇 시간이 적절한가'를 물어보면서 선택지로 '48시간 이하', '52시간', '56시간', '60시간', '64시간', '69시간 이상'을 제시했다. 그 결과 2명 중 1명이 선택지 중 가장 짧은 48시간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것이다.
현행 52시간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29.6%에 그쳤다. 나머지 10명 중 8명(77.9%)는 '근로시간을 현행 유지하거나 줄여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직장갑질119는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 노동자 대다수가 주 60시간 근로에 찬성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착시'라고 주장했다.
고용부 조사에서는 '특정 주 내 최대 근로시간 제한 범위를 1주 60시간 이내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노동자의 75.3%, 사용자의 74.7%로 가장 높았는데, 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상한이 '주 60시간 이내'였단 것이다.
직장갑질119 측은 "이번 결과에서도 확인됐듯이 직장인은 선택지 중 가장 짧은 시간을 일관되게 고르고 있다"고 짚었다.
직장갑질119 야근갑질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성우 노무사는 "주 48시간은 유럽연합 대부분 국가에서 시행 중이고, 국제노동기구(ILO)도 밝힌 주당 근로시간 상한의 국제적 기준"이라며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근로시간 제도 개편의 최우선 과제는 '일과 생활의 균형'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꿈비·뱅크웨어글로벌·동방메디컬·올리패스, 최대주주 지분 매각 해제
- LG전자-KOICA, 에티오피아 희망직업훈련학교 9기 졸업생 배출
- "AI 기술 집약"⋯삼성물산, 개포우성7차에 스마트 주차장 조성
- 대한항공 "회원 정보 업데이트하면 파리 왕복권 쏜다"
- 알리익스프레스, 여름용품 249종 안전성 점검
- KT스카이라이프·KT, '스카이오토 프리미엄' 출시…이동형 미디어 시장 공략
- 김영섭 KT號, 또 기록 썼다⋯역대 분기 최대 영업익 '어닝 서프라이즈'(종합)
- "우리 아이 비만, 부모 중 누구 유전자가 더 셀까?"
- 제주항공, 취향 맞춤형 '여행심화반' 방콕 상품 출시
- 바이탈뷰티 슈퍼레티놀, 누적 판매 1000만 포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