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달러 환율 152엔 육박, 연중 최고치… “韓 수출경쟁력 약화 우려”

도쿄=이상훈 특파원 2023. 11. 15. 0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엔화 가치가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일본에서는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 수출 기업에는 유리하지만 석유 원자재를 비롯한 수입 물가를 자극해 서민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이에 중앙은행 일본은행이 지난달 말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을 사실상 허용하는 쪽으로 결정한 뒤 이달 초 150엔 선 아래로 떨어진 엔-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하면서 엔화 가치는 33년 만의 최저 수준에 다가선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화가치 33년 만에 최저치 접근
골드만삭스 “연내 155엔 갈 수도”
日 “과한 변동 안돼… 만반의 준비”
일본 엔화 가치가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올해 안에 엔-달러 환율이 155엔까지 갈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13일(현지 시간) 미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51.92엔까지 상승(엔화 가치 하락)하며 지난해 최고치(151.94엔)에 육박했다. 엔-달러 환율이 이 기록을 경신하면 버블 경제 붕괴 초반인 1990년 이후 33년 만에 엔화 가치가 가장 낮아지게 된다.

일본에서는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 수출 기업에는 유리하지만 석유 원자재를 비롯한 수입 물가를 자극해 서민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일본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탈출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고금리 장기화에 들어간 미국과 금리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면서 엔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금리)이 한때 5%를 넘으면서 금리가 낮은 엔화를 팔고 달러화를 사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해지자 엔화 가치는 더 하락하고 있다.

이에 중앙은행 일본은행이 지난달 말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을 사실상 허용하는 쪽으로 결정한 뒤 이달 초 150엔 선 아래로 떨어진 엔-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하면서 엔화 가치는 33년 만의 최저 수준에 다가선 것이다. 지난달까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달러당 150엔을 심리적 저항선으로 봤지만 지금은 이 선을 넘은 게 당연시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크게 오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내년 금리 인하 예상이 꺾이면서 달러화 강세가 진행되기 쉽다”고 분석했다.

스즈키 슌이치(鈴木俊一) 일본 재무상은 14일 “환율의 과도한 변동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기본적인 생각”이라며 “일본 정부로서는 계속해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록적인 엔저는 한국의 수출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일본과 수출 경합을 벌이는 상품을 중심으로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밀릴 수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서 엔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한국의 가격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여행수지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엔저 현상이 지속될수록 일본으로 몰리는 국내 관광객이 많아져 서비스 수지 부진을 부추길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엔저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투자 목적으로 낮은 가격에 엔화를 사는 사람이 많아지는 엔테크(엔화+재테크)로 이어지고 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 엔화 예금 잔액은 7일 기준 1조1407억 엔(약 9조9200억 원)이다. 지난달 말 1조489억 엔에서 일주일 새 918억 엔(약 8000억 원) 불어난 것이다. 반면 엔화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같은 금융상품 투자자에게는 악재로 작용한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