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술교육대 연구팀, '고효율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기술교육대는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도입한 '고효율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ENG)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연구팀은 두 개의 마찰층에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도록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높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전력밀도를 가지며 고분자 소재의 부드럽고 잘 늘어나는 특성을 활용한 고성능 나노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안=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한국기술교육대는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도입한 '고효율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ENG)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자투리 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수확해 전원으로 활용할 획기적인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전망이다.
마찰대전 나노발전기는 서로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하고 분리될 때 만들어지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이동 현상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변환 장치다.
충전이나 배터리 없이 자가발전이 가능해 사물인터넷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헬스 모니터링 센서, 자가발전 전자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낮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밀도를 가지고 있어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두 개의 마찰층에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도록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높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전력밀도를 가지며 고분자 소재의 부드럽고 잘 늘어나는 특성을 활용한 고성능 나노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번에 성공한 연구성과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플렉서블·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자 피부, 의료용 센서 등 차세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나 첨단 센서 분야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온라인판에 지난 6월 23일 게재됐다.
yej@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인천공항 내린 줄 알았더니 김포…놀란 승무원도 승객에 되물어 | 연합뉴스
- 정읍서 10대 아르바이트생 때린 고깃집 사장…경찰 조사 | 연합뉴스
- 제주도보다 비싼 울릉도 물가…3일 여행에 100만원 훌쩍 | 연합뉴스
- [삶] "나에겐 성폭행보다 무서운 것이 구타였다" | 연합뉴스
- 부산 송도 해수욕장서 60대 여성 변사체 발견 | 연합뉴스
- 스위스서 속도위반 수천억대 자산가, 최대 1억5천만원 벌금폭탄 | 연합뉴스
- 이스라엘 '가자시티 장악' 앞두고 공세…"하루새 123명 사망" | 연합뉴스
- 55세 맞은 만화 '꺼벙이' 다시 돌아온다…숏폼 애니로 재탄생 | 연합뉴스
- '팬 금전 편취 혐의' 티아라 전 멤버 아름, 2심도 징역형 집유 | 연합뉴스
- 김건희, 서울남부구치소 독방 수감…예우 없고 경호도 중단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