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술교육대 연구팀, '고효율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기술교육대는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도입한 '고효율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ENG)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연구팀은 두 개의 마찰층에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도록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높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전력밀도를 가지며 고분자 소재의 부드럽고 잘 늘어나는 특성을 활용한 고성능 나노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안=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한국기술교육대는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도입한 '고효율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ENG)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자투리 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수확해 전원으로 활용할 획기적인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전망이다.
마찰대전 나노발전기는 서로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하고 분리될 때 만들어지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이동 현상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변환 장치다.
충전이나 배터리 없이 자가발전이 가능해 사물인터넷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헬스 모니터링 센서, 자가발전 전자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낮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밀도를 가지고 있어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두 개의 마찰층에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도록 탄소 나노 필러를 표면처리해 높은 기계-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과 전력밀도를 가지며 고분자 소재의 부드럽고 잘 늘어나는 특성을 활용한 고성능 나노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번에 성공한 연구성과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플렉서블·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자 피부, 의료용 센서 등 차세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나 첨단 센서 분야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온라인판에 지난 6월 23일 게재됐다.
yej@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샷!] 강남 한복판서 밥 퍼주는 편의점 | 연합뉴스
- '헤비메탈 제왕' 英 오지 오스본 별세…향년 76세 | 연합뉴스
- 산사태로 통째 꺼진 산청 상능마을…이장 6분전 방송, 주민 탈출 | 연합뉴스
- 생일잔치 열어준 아들 왜 쐈을까…추궁에도 "알려고 하지마" | 연합뉴스
- 日서 병원치료 후 한달 연락 끊긴 20대 한국 여성, 안전 확인돼 | 연합뉴스
- 타정총 공포탄 수백발 소지하고 국회 들어가던 80대 검거 | 연합뉴스
- 검찰, '쯔양 공갈 혐의' 구제역 항소심도 징역 4년 구형 | 연합뉴스
- '선불카드 싸게 팔아요' 소비쿠폰 불법거래 확산…적발 시 환수 | 연합뉴스
- "허황되고 유치한 스토리 안돼"…中 '국뽕 항일 웹드라마' 단속 | 연합뉴스
- 정식 임용 1주일 된 경찰관, 야근 후 퇴근길에 화재 진화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