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강국' 日과 공조 강화···韓 소부장 경쟁력 업그레이드
◆ 양국 정밀화학 공동연구 선언
韓 2030년 자립화율 목표 50%
소재시장 장악 日 노하우 활용
소부장업계 전반 기술력 강화
中 의존 줄이고 무역수지 개선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분야 1위인 대만 TSMC에 이어 삼성전자까지 일본에 반도체 생산 라인을 구축하기로 한 데는 일본의 높은 소재·부품·장비 기술력이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 후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파운드리 빅2’ 모두 해당 분야에 경쟁력이 있는 일본 소부장 기업과 협력해 신기술을 개발하려는 의지가 컸기 때문이다. 반도체 등 우리 주력 산업 발전을 위해 고도의 소부장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이런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개최하는 한일 정밀화학 분야 공동 연구 선언식은 우리 소부장 기술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기술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소부장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산업부는 앞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에서 민관이 합동으로 3000억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해 소부장 기업 혁신 등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 판교·용인에 ‘반도체 소부장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소부장 연구개발(R&D)을 시장 선도형 기술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그럼에도 우리 소부장 자립화율 목표치는 2030년 50%에 그친다. 이것도 현재 자립화율인 30% 수준과 비교하면 공격적인 목표다. 우리 입장에서는 소재 강국 일본의 노하우와 경험이 필요한 이유기도 하다.
실제 일본은 세계 반도체 소재 시장에서 점유율 55%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포토레지스트 시장은 일본 기업이 90% 이상을 장악한 상태다. JSR·도쿄오카공업 양 사의 점유율만 50%가 넘는다. 일본이 정밀화학 분야에서 100년 가까운 업력을 쌓아온 결과다.
범용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우리 화학 업계가 최근 고부가가치 정밀화학 제품 생산에 주목하는 만큼 일본과의 이번 공동 연구 선언은 우리 소부장 산업 성장에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 기업의 성장 경로도 우리 기업에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 가령 금호석유화학에 합성고무 기술을 전수했던 일본 JSR은 2000년대부터 정밀화학 기업으로 탈바꿈했다. 합성고무 1톤이 150만~200만 원 수준인 반면 포토레지스트는 갤런당 350만 원에 달한다. 반도체·배터리 등 제조업이 고도화할수록 제품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정밀화학 기술이 필수적이다.
정밀화학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등 우리 먹거리 산업의 후방산업에서 일본이 앞서나간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라며 “정밀화학 분야에서 일본의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다면 우리 소재 산업이 도약하고 우리 주력 산업의 수출도 뒷받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과의 공동 연구는 소부장 분야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진정한 ‘소부장 자립화’를 추진하는 측면도 있다. 산업부 소부장넷에 따르면 일본으로부터의 화학 소재 수입액은 2018년 63억 5471만 달러에서 지난해 56억 8076만 달러로 약 10%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81억 5만 달러에서 114억 6349만 달러로 41.5%나 증가했다.
소부장 기술력 강화는 장기적인 무역수지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일본 소부장 수입의존도는 2013년 21.3%에서 2022년 15.0%로 개선됐지만 대일본 소부장 부문 무역수지는 악화되고 있다. 대일 소부장 무역적자는 2019년 186억 9000만 달러까지 축소됐으나 지난해에는 249억 3000만 달러까지 증가한 상태다. 대중국 소부장 산업의 경우 무역흑자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소부장 관련 대중 수출은 1000억 달러대에서 정체된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하면서 무역흑자는 2019년 544억 9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252억 2000만 달러로 급감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는 “소부장 전반의 수요와 투자 촉진을 유도해 소재에서 장비까지 상품의 비교 우위, 기술적 절대 우위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특히 반도체·배터리 등 핵심 성장 동력 분야는 특정 산업이나 기술 발전을 통한 경쟁 우위 확보 차원을 넘어 경제의 지속 성장 가능성을 담보하고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중요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구선수 김민재 아내, 보행하던 소년 들이받았다'…나폴리서 교통사고
- '네팔렘 밥장사' 백종원 이어…BTS 슈가도 '성역' 떠나나
- 4개월 아들 방치해 숨졌는데…20대 엄마는 카톡으로 'ㅋㅋㅋ'
- “담배 한 모금마다 독 들어 있다”…담배 개비마다 경고문 붙인 '이 나라'
- 요르단 왕세자 '사우디 재벌집' 사위로…하객 명단도 '초특급'
- 로고도 없는 'LVMH가문 며느리 백' …韓백화점에 떴다
- '58세 대표와 결혼, 노모 모실 평생직원 구함'…채용공고 '황당'
- '배승아양 참변' 만취 60대男 '깊이 반성' 한다지만…알고 보니 상습범
- “나훈아 콘서트 티켓 팔아요”…팬들 울린 30대 남성의 최후
- 오늘 저녁엔 '대게 파티'?…치킨보다 싼 가격, 무슨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