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장애인단체, 이동·교육·노동권 보장 촉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애인의 날 하루를 기념하고자 나선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리고 이를 해소하고자 이 자리에 섰다."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가 경남도청 프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 하루를 기념하고자 나선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리고 이를 해소하고자 이 자리에 섰다.”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가 경남도청 프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협의회는 도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인인권센터, 장애인평생학교 등 22개 단체로 이뤄졌다.
이들은 “버스 파업으로 모든 시민이 불편을 겪고 있는데 그런 불편함은 장애인들에겐 매일 겪는 일”이라며 “이동은 물론 교육, 노동, 자립, 탈시설 등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협의회는 “장애인 이동권을 위해 저상버스와 장애인 콜택시, 바우처 택시가 운영되고 있으나 도입률이 낮고 시외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택시 대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며 교통수단 1대당 일일 운행 시간 18시간 보장, 24시간 바우처 택시 운영, 저상버스 이용 확대 등을 요구했다.
이어 “장애인에게 평생교육은 사람들을 만나고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발판인데 전국 평생교육 기관 중 장애인 대상은 308개에 불과하다”라며 김해 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1곳 추가 설립, 평생학교 예산 확충 등을 요청했다.
“돌봄이나 치료를 이유로 장애인을 특정시설에 가두지 말라”며 “거주 시설에서 나와 개인별 주택에서 자립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받으며 자율적으로 살아가길 원한다”라고도 했다.
“우릴 동정과 시혜의 대상으로 여기지 말고 노동의 주체로서 권리를 행사하게 해 달라”며 장애인 일자리와 일자리 참여자 근로시간 확대도 요구했다.
이들은 “대단한 것을 바라는 게 아니라 인간답게 살 권리를 행사하고 싶은 것뿐”이라며 자립 지원, 자녀 돌봄 및 양육 지원, 발달장애인 및 정신장애인 지원 강화 등을 비롯해 ▲이동권 ▲교육 권리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노동권 보장을 촉구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군면제' 대선주자 이재명·김경수·김문수…사유 살펴보니[대선주자와 병역][AK라디오] - 아시아
- "갑자기 몸이 가려워"…발칵 뒤집힌 대학 기숙사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팬·지인에 3700만원 빌리고 안갚아…'사기혐의' 티아라 아름 1심 유죄 - 아시아경제
- "입에서 입으로 '러브샷 강요'"…대학 신입생 MT서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전 대통령 부부 모두 15년 선고 받더니…남편은 수감 vs 아내는 망명 - 아시아경제
- 가장 더러운 양쯔강, 우르르 달려가 생수 '콸콸'…이유가 황당 - 아시아경제
- "그 약은 저희 약국엔 없어요"…'절대파워' 공룡 도매상이 삼켜버린 시장경쟁[의약품 유통시장의
- "21년간 기아만 다녔다"…이직열풍·희망퇴직 칼바람에도 '그래도 대기업' - 아시아경제
- "대통령되면 보복의 칼?"…이재명 "제 인생 누굴 보복한 적 없어" - 아시아경제
- "하루 7만원 우스웠는데 2만원도 못벌어요"…관세폭탄에 中 노동자 절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