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 수출절반이 중국행…특정국배제 아닌 다층협력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가 특정 국가 배제가 아닌 모든 이해 당사국과의 협력 강화를 목표로 대외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면서 "한국은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은 국가로서 다자주의 회복이 국익에 필수"라며 "따라서 한국의 대외 전략은 특정국 배제가 아닌 다층적 협력으로, 모든 이해 당사국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우리나라가 특정 국가 배제가 아닌 모든 이해 당사국과의 협력 강화를 목표로 대외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은 3일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2023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원장은 중국이 지난해 기준 한국 메모리 반도체 수출의 51.3%를 차지한다면서,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 대금이 한국의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고 원천기술을 투자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라고 지적했다.
메모리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하고 추가로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관련 기술 유출 가능성도 있는 만큼, 기술 보호도 필요하다고 김 원장은 부연했다.
김 원장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역 및 공급망 협의체는 미국, 호주, 일본을 중심으로 중국 배제 성격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며 한국은 이 중 일부만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은 국가로서 다자주의 회복이 국익에 필수"라며 "따라서 한국의 대외 전략은 특정국 배제가 아닌 다층적 협력으로, 모든 이해 당사국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이 가진 첨단기술과 소프트파워를 기반으로 다층적 협력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해야 한다"며 "한국은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공정한 규범 수립과 자유시장 질서 회복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아파트 8층 외벽서 50대 추락…비가림 시설로 떨어져 경상 | 연합뉴스
- 리버풀 공격수 조타, 자동차 사고로 숨져…결혼 10여일 만에 비극 | 연합뉴스
-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서울시 공무원 해임 | 연합뉴스
- '김민석 저지' 나경원, 金 인준에 농성 접어…"전장 옮긴다" | 연합뉴스
- 부모 외출 후 집에 있던 초등·유치원생 자매 화재로 숨져(종합3보) | 연합뉴스
- '마약류 상습투약' 유아인, 대법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확정(종합) | 연합뉴스
- 태국서 방치된채 개 6마리와 자란 8세 소년…"말 못하고 짖기만" | 연합뉴스
- "각서 써" 부하직원끼리 결혼 강요한 직장상사 징역형 집유 | 연합뉴스
- 박서준, '무단 광고' 식당 상대 손배소 승소 | 연합뉴스
- '다시 만나주지 않는다' 전 여친 둔기폭행·감금 30대 징역 20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