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3∼6일 '무슬림 70% 차지' 바레인 방문…역대 최초

임화섭 2022. 11. 1. 16: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슬람 등 타 종교 지도자들과 만나…5일 미사 집전
프란치스코 교황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프란시스코 교황이 3∼6일 바레인을 방문해 이슬람 등 타 종교 지도자들과 가톨릭 신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무슬림이 인구의 70%를 차지하는 바레인에 현직 교황이 방문하는 것은 역대 최초다.

이번 방문은 프란치스코 교황 즉위 이래 39번째 국외여행으로,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바레인 국왕의 초청에 교황이 응해 성사됐다.

교황의 바레인 방문 주제는 '선의의 사람들에게 지상의 평화'다. 로고는 바티칸과 바레인 국기가 두 손 모양으로 하느님을 향해 손을 벌리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올리브 가지는 평화를, 파란색으로 칠해진 '프란치스코 교황' 글자는 파란색을 상징하는 성모 마리아에게 방문을 위탁한다는 뜻이라고 교황청은 설명했다.

프란치스코 교황 바레인 왕국 방문 포스터 [바티칸 뉴스 공식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프란치스코 교황은 3일 방문길에 올라 4일 바레인 국왕이 주관하는 '대화를 위한 바레인 포럼: 인류 공존을 위한 동서양' 폐막식에서 연설할 예정이다.

행사 의제로는 서방에 거주하는 무슬림 신자 공동체들, 인권 위기, 기후 문제, 무슬림-그리스도인 등이 잡혀 있다.

이번 포럼에는 이집트 최고 종교기관 알아즈하르의 대(大)이맘이며 수니파 이슬람의 최고 권위자인 셰이크 아흐메드 알타예브와 아부다비에 본부가 있는 무슬림장로회의 관계자들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200명이 넘는 다양한 종교 지도자들이 참석한다.

포럼이 끝난 뒤 프란치스코 교황과 알타예브의 비공개 만남이 잡혀 있다.

이 두 종교지도자는 2019년 2월 아부다비에서 그리스도인들과 무슬림들 사이의 공존을 다짐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한 적이 있다. 현직 교황이 이슬람 발상지인 페르시아만 지역을 방문한 것은 당시가 사상 처음이었다.'

교황은 5일 바레인 아왈리에 세워진 '아라비아의 성모 대성당'에서 초교파적 기도를 이끌 예정이다.

이 성당은 아라비아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성당으로 작년 12월에 문을 열었으며 한 번에 2천3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바레인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 수는 약 8만명으로 추정되며, 이 중에는 인도나 필리핀 등 남아시아에서 온 노동자들이 많다.

교황은 또 바레인 국립 경기장에서 2만8천명의 신자들이 모인 가운데 미사를 집전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일요일인 6일에는 마나마에서 주일 삼종기도에서 주교들과 신자들과 만나 기도하는 것을 끝으로 바레인 일정을 마무리하고 로마로 귀국한다.

교황은 무릎 질환 탓에 출장 기간 대부분에 휠체어를 타고 다닐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헨티나 출신이며 올해 말 만 86세 생일을 맞는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즉위 이래 무슬림 공동체와의 대화를 중시해 왔다. 그는 2017년에 이집트, 2019년에 아랍에미리트, 2021년에 이란을 방문했다. 이 밖에 무슬림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나라들 중 요르단, 튀르키예,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방글라데시, 모로코, 카자흐스탄 등도 방문한 적이 있다.

일부 인권운동단체들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수니파 지도자인 바레인 국왕을 만날 때 시아파 무슬림에 대한 탄압을 멈추도록 촉구해 달라고 요청했다.

바레인은 아랍에미리트와 마찬가지로 아랍권에서는 종교 문제에 관용적인 편인 나라로 알려져 있으나, 2011년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난 이래 야당 인사들의 활동을 방해하는 수단으로 종교 탄압이 동원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왕 등 바레인 왕가는 수니파지만, 바레인의 무슬림 인구 중 60∼70%는 시아파다. 반정부 시위 참가자들과 야당 인사 중에는 시아파가 많았다.

바레인 정부의 공보 관계자는 로이터 통신에 "(바레인) 왕국 내의 어떠한 개인도 자신의 신념 때문에 체포되거나 구금되지 않는다"며 바레인 헌법이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인종·문화·신앙에 따른 차별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그러나 개인들이 폭력이나 증오를 선동하거나 부추기거나 칭송한다면, 이들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필요한 경우 기소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바레인에서 투옥된 사형수 12명의 가족은 지난달 31일 런던에 본부를 둔 바레인 인권 및 민주주의 연구소(BIRD)를 통해 공개서한을 발표하고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바레인 방문 기간에 사형 반대와 감형 촉구 목소리를 내 달라고 부탁했다.

BIRD는 이와 함께 민주주의 시위에 참여한 양심수이며 복역 기간 10년을 채워 간다는 알리 알-하지가 교황에게 보낸 공개 서한도 공개했다. 그는 "인류의 이름으로 바레인 국왕에게 평화를 준수하고 나와 모든 바레인의 정치범들을 석방토록 촉구해 달라"고 요청했다.

바레인은 한동안 사형집행을 하지 않았으나 2017년부터 재개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사형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는 입장을 2018년 공식 교리로 천명했으며 교황은 이 때부터 전세계에 사형 폐지를 촉구해 왔다.

지난 주 브리핑에서 교황청 대변인 마테오 브루니는 교황이 바레인 방문 중 인권 문제를 거론할 예정이냐는 질문에 자신이 전망할 수 없는 문제라고 답했다.

limhwasop@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