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업기술원, 수확 앞둔 들깨 '노린재 피해' 주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는 들깨 수확기를 맞아 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와 함께 적기수확이 이뤄져야 고품질 수량을 높일 수 있다고 26일 밝혔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들깨는 재배면적이 꾸준히 증가하는 인기작물이지만, 수확기에 발생하는 미소해충인 애기노린재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품종별로 꼬투리의 갈변도에 따라 수확시기를 판단하는 게 들깨 생수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주=뉴스1) 엄기찬 기자 = 충북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는 들깨 수확기를 맞아 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와 함께 적기수확이 이뤄져야 고품질 수량을 높일 수 있다고 26일 밝혔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들깨는 재배면적이 꾸준히 증가하는 인기작물이지만, 수확기에 발생하는 미소해충인 애기노린재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이 해충의 피해가 생기면 수확감소는 물론 발아율에 영향을 미쳐 이듬해 종자 사용이 어려워 각별한 주의와 예찰이 필요하다.
애기노린재 피해예방을 위해서는 꽃이 피는 시점부터 최성기(10월 상·중순)까지 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해충방제에 힘써야 한다. 또 9월 중순부터 공시된 유기농업자재를 들깨뿐만 아니라 중간기주 역할을 하는 잡초에도 살포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적기수확도 중요하다. 대부분 10월 중·하순이 수확기지만, 품종에 따라 9월 하순부터 수확하기도 하는데 조생종 '안유' 들깨가 대표적이다. 종자의 꼬투리 갈변도가 높아지면 종자 탈립율도 증가하기 때문에 60% 정도 갈변됐을 때 수확하는 것이 가장 수량이 높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품종별로 꼬투리의 갈변도에 따라 수확시기를 판단하는 게 들깨 생수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
sedam_0815@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암진단비로 동남아에 식당 연 母…아들 부부가 착취, 韓 추방돼 고시원에
- 결혼식에 '유산 후 이별' 전여친 초대한 남편…"정 때문에, 사랑은 너 뿐"
- "상간녀 소송하자 시댁서 '드센 며느리'·남편은 이혼 요구…어쩌죠?"
- "막걸리 1500원·부침개 1개 공짜"…입소문 대박나자 옆집서 '합판' 훼방
- 조혜련, 성매매 연결하고 커미션? "난 포주 아냐…어이없어" [N이슈]
- 유방암 걸린 아내 혼자 두고…"음식 함께 먹으면 안 돼" 시댁서 산 남편
- '근친상간 루머' 입 연 강은비 "열애설 기사에 남동생 사진…완전 꼬였다"
- '발 크기 360㎜' 최홍만, 한예슬 비명 지르게 한 일화 공개
- 유승준 "사면 성명서 모르는 일…한국서 돈 벌 생각 없고 명예 회복만"
- 두 마리 5만6000원인데 "더 안 시켜?"…오징어 난전, 이번엔 '바가지' 시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