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3일째..물류대란 장기화 우려

정광윤 기자 2022. 6. 10. 06:0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화물연대 파업이 3일째에 접어들면서 피해가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회와 정부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물류대란이 장기화될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정광윤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파업 상황부터 짚어보죠. 어떻습니까?

[기자]

물류거점인 부산항과 인천항의 경우,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상시의 절반을 크게 밑돌았는데요.

시멘트 출하에 제동이 걸리면서 레미콘 업계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삼표산업은 레미콘 공장 17개의 가동을 멈췄고, 유진기업, 아주산업 등도 절반 이상의 공장이 멈춰섰습니다.

현대차 울산공장 역시 부품 공급 문제로 이틀째 생산라인이 가다서기를 반복하고 있는데요.

기아차는 완성차를 옮기는 전용 운송차량이 멈춰서면서 공장 직원들이 번호판이 없는 신차를 직접 운전해 옮기고 있습니다.

대전에선 수소충전소가 멈춰섰고 편의점 업계는 소주를 직접 가져오기 위해 소주 공장으로 편의점 차량을 보내고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파업과 관련해 수위를 넘어선 파업에 대해선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고요?

[기자]

어제(9일) 용산 청사 출근길에서 이번 파업과 관련해 "불법행위는 엄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는데요.

들어보시죠.

[윤석열 / 대통령 : 어떤 경우에도 법을 위반해서 폭력을 행사하는 건 법치국가에서 국민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겁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정부와 화물연대 간 대화가 끊어진 적이 없고, 의미 있는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빠른 시간 안에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조정하겠다"며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습니다.

하지만 정작 어제 더불어민주당이 주선한 화물연대와의 간담회엔 국토부 관계자가 참석하지 않았는데요.

원 장관은 "특정 정당 주최의 간담회 참석은 조율이 필요하다"며 불참 이유를 밝혔습니다.

[앵커]

이대로면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크다고요?

[기자]

일단 화물연대는 올해말 자동 폐지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유지·확대해야 파업을 멈추겠다는 입장인데요.

화물기사에게 기름값 인상 등을 반영한 최소 운임을 보장하라는 겁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법 개정은 국회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요.

국회가 이와 관련해 별다른 논의를 하지 못하면서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통 노사정 관계 조율을 맡는 고용노동부는 "주무부처는 국토부"라며 이번 파업과 관련해 발을 빼고 있습니다.

[앵커]

정광윤 기자, 잘 들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