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석학' 스티글리츠 "코로나 팬데믹으로 '탈세계화' 직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셉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석좌교수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국제사회가 '탈세계화'에 직면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세계경제연구원과 하나은행의 주최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금융의 미래'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셉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석좌교수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국제사회가 '탈세계화'에 직면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세계경제연구원과 하나은행의 주최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금융의 미래'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연설은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중계를 통해 이뤄졌다.
그는 "그동안 세계화가 불가피하고 영원히 지속될 현상이라는 믿음이 있었지만, 2008년 금융위기에서 보았듯 세계화의 따른 국가간 대규모 자본흐름은 우리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며 "제조업 기반 경제에서 서비스업 기반 경제로 전환하면서 더이상 모든 국가에서 성장하지 않고, 세계 GDP(국내총생산) 대비 교역량이 하락하는 추세가 가속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세계경제가 결국 회복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며 "어떻게 보면 '스페어(여분) 타이어가 없는 자동차'와 다를게 없다. 문제가 없을 땐 작동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는 순간 시스템을 회복시킬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새로운 사회개혁 등을 통해 정부와 시민사회간 균형잡힌 시스템을 만들어 회복력있는 경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간 공조의 필요성도 내세웠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더이상 세계화가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됐지만, 코로나 팬데믹에서 보듯 결국 종식을 위해서는 모든 국가에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걸 알 수 있다"며 "공동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협력하는 방법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 부문의 지원과 관련해서도 "전세계가 불황을 겪고 있지만, 금융부문은 이자를 거두면서 상황의 심각성을 무시하는 듯 싶다"며 "이번 경기 불황은 장기적이고 극심할 것이고, 대공황에서 회복하는 데에 10년이 걸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제역할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연설자로 나선 카르멘 라인하트 세계은행 수석부총재도 세계화 쇠퇴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인하트 부총재는 "21세기에 세계화로 국경간 자본이동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교역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코로나19 이후 이러한 흐름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개도국과 신흥국에서 훨씬 높은 수준의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고, 국가간 자본 이동도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가 회복되기까진 상당기간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는 "최악의 상황이 지나갔다는 전제 하에서 워낙 이전에 큰 폭 하락한 데에 따른 기저효과로 경제 수치가 호전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겠지만, 그것이 완전한 회복인지 판단하는 데에는 신중해야 할 것"이라며 "4~6년이 지나야 1인당 GDP가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