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나오셨습니다?" 엉터리 존댓말 판친다
한승연 2014. 10. 8. 22:29
<앵커 멘트>
내일이 한글날인데요.
우리가 잘못 사용하고 있는 어법중에 사물을 존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 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한승연 기자가 그 실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 "커피 나오셨습니다.", "이쪽이 라떼십니다."
엉뚱하게도 사람이 아닌 사물에 대해 존댓말을 쓰는 현실을 풍자하는 영상입니다.
이런 행태는 일상에서도 쉽게 목격됩니다.
서울의 한 대형 마트입니다.
손님이 옷의 가격을 물어보자...
<녹취> 마트 점원 : "(이거는 얼마예요?) 2만9천9백원이십니다."
옷의 치수를 물어봐도.
<녹취> 마트 점원 : "M사이즈가 없으시네요."
점원은 옷을 높이는 말을 대화 중에 자연스럽게 쓰고 있었습니다.
<녹취> 마트 점원 : "고객님들한테 존칭을 하다보니까 무의식적으로..."
사물 존대의 잘못된 표현은 이런 마트나 백화점과 같은 서비스 업계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혜원(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장) : "고객에 대한 무조건적인 존대와 존칭을 요구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사물 존대가 과도하게 범위가 확대된 경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유통업계에서 고객 서비스를 강조한 2천년 대 이래로 잘못된 사물 존대 표현이 폭넓게 쓰이고 있다며, 올바른 어법을 쓰도록 범사회적인 계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K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미 관세협상 중 고성 나왔던 순간?
- 트럼프, 관세 타결하며 뒤늦게 이재명 당선 축하, 의미는?
- 韓美 무역협상 ‘극적 타결’…대통령실 Q&A 요약 정리
- “적절하지만 몇가지 짚을 부분은…” 국민의힘 반응
- 美 러트닉 장관 “한국기업, 막대한 투자 할 것” 누가, 얼마나?
- 소방서에 커피 쏜 청년…점주도 본사도 나눔 동참
- 미국과 관세협상 타결, 이 대통령 SNS 설명은
- [단독] ‘사라진 아이’ 77명 행방불명 추가 확인…“경찰도 못 찾아”
- ‘흉기 들고 배회’ 30대 남성, 경찰 테이저건 맞고 제압
- 이 대통령, 스가 전 일본 총리 만나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