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단순히 많이 먹기 때문"
英학자 "운동 보다 음식 섭취 줄이는게 더 중요"
(런던=연합뉴스) 이성한 특파원 = 비만은 단순히 많이 먹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며 운동으로 살을 빼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스코틀랜드 애버딘 대학의 생태학연구소 존 스픽먼 교수는 16일 버밍엄에서 열린 영국과학페스티벌에서 칼로리 소비량은 1980년대나 지금이나 그대로인데 칼로리 섭취는 현재 3천500 칼로리로 1980년대에 비해 3분의 1 가량 증가했다고 말했다.
지난 25년간 성인 남성은 하루 1천380 칼로리, 여성은 평균 950 칼로리를 소비해왔고 지금도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유행병이 돼 버린 비만은 사람들이 운동을 적게 했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많이 먹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규정했다.
따라서 운동과 같은 신체 활동을 통해 비만을 잡는 것 보다는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그는 조언했다.
스픽먼 교수는 "지난 25년간 비만도는 엄청 증가했는데 신체적인 활동 정도는 변화가 없다"면서 "체내 안정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낮에 더 운동하면 할수록 저녁 때에는 덜 움직이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 예전에는 저녁을 먹은 뒤 독서나 라디오를 들었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TV시청으로 바뀌었고 다시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일이 많아졌지만 칼로리 소비는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는 강도 높은 운동을 한 시간 가량 할 경우 300 칼로리가 소비되는데 이는 하루 음식 섭취량의 10%로 작은 샌드위치 조각 하나에 해당된다고 덧붙였다.
스픽먼 교수는 "체질량지수가 35인 사람이 표준으로 낮추려면 매일 4~5시간의 운동을 해야 하고 아마도 평생 해야 유지될 것"이라면서 "그러나 음식 섭취를 30% 줄이면 동등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ofcourse@yna.co.kr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비만.저체중 장병 30%..복무부적합 사병 증가
- "청소년 절반, 나트륨 4천mg 이상 섭취"
- "한끼 외식, 가정식 보다 열량 40%↑"
- <의학> 다이어트 성공여부 미리 알수있다
- "비만청소년, 음료·주류 섭취율 높다"
- 李정부 첫특사 조국 부부·윤미향 포함…최지성 등 경제인도(종합) | 연합뉴스
-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나이 속여 접근 | 연합뉴스
- 유시민, '강선우 갑질 의혹' 제기 보좌관에 "일 못해 잘려" 주장 | 연합뉴스
- 대전 교제살인 피의자는 26세 장재원…경찰, 신상 공개 | 연합뉴스
- 英배우 에마 톰슨 "트럼프가 27년 전 데이트 신청했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