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총대를 메야 할까, 매야 할까
아무도 나서서 맡기 싫어하는 일이 있다. 이렇게 모두가 꺼리는 공동의 일을 대표로 맡는 경우 관용적으로 ‘총대를 메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총대를 ‘메다’고 해야 할지, ‘매다’고 해야 할지 헷갈린다. ‘메다’와 ‘매다’는 발음으로는 철자와 의미를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적을 때 어려움을 겪게 마련이다.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총열을 장치한 전체의 나무를 의미하는 ‘총대’는 어깨에 올려놓아야 하는 것이므로 “총대를 메다”라고 해야 바르다.
‘매다’는 끈이나 줄 등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겨 풀어지지 않게 묶거나 마디를 만드는 행동을 뜻한다. 따라서 “신발끈을 매다” “안전띠를 매다” “옷고름을 매다”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둘이 헷갈릴 때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다. ‘매다’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매듭을 짓거나 묶는다는 의미로 쓰인다. ‘매다’의 어간 ‘매-’에 사용된 모음 ‘ㅐ’를 살펴보면 그 모양이 꼭 매듭지은 모습처럼 보인다. 모음 ‘ㅐ’가 매듭을 묶은 모양이라고 기억해 두면 무언가 묶는 행위를 나타내는 단어 뒤에는 ‘매다’를 떠올릴 수 있다.
그렇다면 넥타이는 ‘메야’ 할까, ‘매야’ 할까. 넥타이는 어깨에 올려놓는 것이 아니라 매듭을 지어 묶어야 하는 것이므로 ‘매다’와 짝지어야 바르다. 배낭은 어떨까? 배낭은 매듭을 짓거나 묶는 일과는 관계가 없고 어깨에 걸쳐야 하는 것이므로 “배낭을 메다”고 하면 된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역출신 28세 미 배우, 노숙자 시설서 숨진 채 발견 | 중앙일보
- "내가 민주당을 왜 가냐" 이준석에 따진 김제동, 무슨일 | 중앙일보
- 아직 맛볼 시간 남았다..."죽음과도 바꿀 맛" 겨울 바다 별미 | 중앙일보
- 딸 띄우며 "잠 그립다"는 김정은…이상한 오른쪽 손목 포착 | 중앙일보
- 이수만, 김민종 부축 받으며…SM 분쟁 이후 첫 공식석상 포착 (사진 4장) | 중앙일보
- 만취 상태로 남의 차 몰고 10km 운전…신혜성 결국 법정 선다 | 중앙일보
- "너만 잘났냐" 청탁 유혹 견뎠다...'지진 사망 0명' 도시의 비결 | 중앙일보
- "일본 오키나와 무인도 샀다"…중국 여성 자랑에 일본 발칵 | 중앙일보
- "조직력으론 10만이 한계"...'84만명 與전대' 투표율 흔들 변수 | 중앙일보
- "10살 연하女 만나려면 대회 참가?"…전북 홍보영상 발칵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