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2600억 들여 전국 공항 시설 개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항공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2027년까지 2600억 원을 들여 전국 공항의 시설을 개선하기로 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의 경우 이 시설이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 위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공항 내 종단안전구역을 240m까지 확보하지 못하거나 방위각 시설 개선이 어려운 공항은 3년간 1250억 원을 투입해 '활주로이탈방지시스템(EMAS)'을 설치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류탐지 레이더도 순차적 도입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항공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2027년까지 2600억 원을 들여 전국 공항의 시설을 개선하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항공 안전 투자 확대 계획을 공개했다. 국비 2470억 원, 공항공사 예산 130억 원 등 총 2600억 원을 투입한다. 이번 계획은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전국 15개 공항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안전점검 결과가 바탕이 됐다.
먼저 7개 공항의 9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은 230억 원을 들여 지하 구조물로 바꾸거나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올해 안에 개선할 예정이다. 방위각 시설은 비행기가 활주로에 진입할 때 방위각 정보를 알려주는 일종의 안테나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의 경우 이 시설이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 위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의 점검 결과 무안·광주·여수·포항경주공항은 둔덕과 콘크리트, 김해·사천공항은 콘크리트, 제주공항은 철골 구조가 활용된 것으로 확인돼 시설 개선에 나서는 것이다.
정부는 또 항공기의 조류 충돌 예방을 위해 15개 모든 공항에 조류 탐지 레이더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4월까지 우선적으로 레이더가 필요한 공항을 확정한 후 연내 시범 도입하고 내년에 본격 도입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약 84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항 내 종단안전구역을 240m까지 확보하지 못하거나 방위각 시설 개선이 어려운 공항은 3년간 1250억 원을 투입해 ‘활주로이탈방지시스템(EMAS)’을 설치한다. 종단안전구역은 비행기가 활주로 앞쪽에 착륙하거나 종단(맨 끝)을 지나치는 경우 장애물과의 충돌로 항공기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착륙대 종단 이후에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이밖에 공항별 활공각 시설, 기상측정 장비, 항공등화 시설 등은 연내 정비를 완료할 예정이다.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이민호 좋아한다고 '왕따''…멕시코 여중생 투신사건의 전말
- '오사카만 5번 넘게 다녀왔다'…이런 사람들 이젠 '이곳'으로 눈 돌린다
- '월급 '반토막'인데도 자리 없어요'…이력서 들고 헤매는 '사직 전공의'
- 이하늬, 고강도 세무조사 끝 '60억' 추징금…'고의적 세금 누락 아냐'
- 부자되려면…'30대는 몸·40대는 머리·50대는 '이것'을 써라'
- 백종원 '마진 제로' 토로했지만…'빽햄' 결국 자사몰 판매 중단
- 年 3000억 버는데…美 본사에는 5500억 배당한 은행은?
- '힘든데 그만들 좀 하면 안 돼요?'…故김새론, 속마음 털어놨었나
- '10년 불륜' 들킨 내연남 괴로워하자 '이 약 먹어' 건넨 50대 결국
- ‘억 소리’ 났던 女골프 ‘사우디 행’…이소미 6.3억, 윤이나 2.3억, 김민선7 1.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