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평균 분양가, 매매시세보다 '145만원' 비싸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가 매매 시세를 역전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기준 전국과 서울에서의 3.3㎡ 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각각 2063만원과 4820만원을 나타낸 반면, 평균 아파트 매매시세는 전국 1918만원, 서울 4300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차 1위 지역은 제주 1245만원, 서울은 520만원 격차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00년부터 전국 아파트 가격 조사를 시작한 이래 2009년 이후 15년 만에 평균 분양가격이 평균 매매시세보다 145만원 비싸졌다.
17개 시·도에서 모두 역전이 일어난 가운데 개별 지역별로는 서울 분양가의 매매시세 추월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벌어졌다.
지난해 기준 전국과 서울에서의 3.3㎡ 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각각 2063만원과 4820만원을 나타낸 반면, 평균 아파트 매매시세는 전국 1918만원, 서울 4300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시세와 비교한 분양가 수준이 전국은 145만원, 서울은 520만원 비싸다.
전용면적 85㎡ 기준 시세 대비 비교할 경우 분양가 수준이 전국은 5000만원, 서울은 1억7000만원가량 높다는 의미다.
부동산R114는 이 같은 격차에 대해 2023년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해제 후 좁혀졌다고 본다.
2023년 1·3대책을 통해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한 규제지역이 대부분 해제되면서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도 사실상 자율화됐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본격화된 금리인상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여파에 따른 조달금리 증가와 급등한 건자재 가격, 인건비, 물류비 등이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분양가 수준도 급격하게 오르기 시작했다는 분석.
서울 기준 추세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3.3㎡당 50만원정도 비쌌던 반면 분양가 규제가 심화됐던 2019년 이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440만원 더 싸졌다.
이후의 편차(분양가-시세)는 ▲2020년(-1012만원) ▲2021년(-1455만원) ▲2022년(-643만원) ▲2023년(-504만원) 등으로 2021년 이후 꾸준히 편차를 좁히다가 2024년에는 2018년 이후 6년 만에 역전됐다.
이밖에 3.3㎡당 분양가와 시세의 편차(분양가-시세)를 지역 별로 살펴보면 ▲제주(1245만원) ▲울산(1096만원) ▲부산(954만원) ▲광주(953만원) ▲경북(858만원) ▲대구(834만원) ▲대전(766만원) ▲강원(666만원) ▲전남(649만원) ▲경남(630만원) 등 주로 지방을 중심으로 17개 시·도 모두에서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오늘부터 미국 정책상 성별은 남성과 여성만 인정" - 머니S
- 윤 대통령 수인번호 '10번'… 3.6평 수용동 독방서 생활 - 머니S
- 고발된 JK김동욱 "옳은 것 행하는 50% 있어서 다행" - 머니S
- "'김민희와 불륜' 홍상수, 외동딸 결혼식 불참… 축의금도 0원" - 머니S
- "결근하면 회사 잘려, 그냥 들어갔을 뿐"… 尹 지지자, 체포에 호소 - 머니S
-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후 병원 간 이유는?… 황반변성 지병있다 - 머니S
- 비트코인·리플 상승 청신호?… 트럼프, 암호화폐 실무그룹 신설 - 머니S
- [단독] NH투자증권, '대졸 신입사원' 이젠 정규직으로 뽑는다 - 머니S
- "♥김지원이랑 결혼해라"…김수현, 과도한 '망붕'에 폭발? - 머니S
- "종말의 날 다가오나"… 멕시코 해변서 '대형 산갈치'가?(영상)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