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m²당 분양가 2000만 원 시대 목전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아파트 분양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서울 분양가가 1 m²당 2000만 원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부동산회사 리얼하우스가 청약홈을 집계한 발표에 따르면 12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서울에서 신규 분양한 아파트의 m²당 평균 분양가(전용면적 기준)는 1997만 원 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초 1100만 원대였던 서울의 m²당 평균 분양가는 지난해 1월 처음으로 1500만 원을 넘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아파트 분양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서울 분양가가 1 m²당 2000만 원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부동산회사 리얼하우스가 청약홈을 집계한 발표에 따르면 12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서울에서 신규 분양한 아파트의 m²당 평균 분양가(전용면적 기준)는 1997만 원 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33.6% 상승한 가격으로 전국 평균 상승률(12.6%)을 크게 상회한다.
서울의 분양가는 지난해 급격히 상승했다. 2021년 초 1100만 원대였던 서울의 m²당 평균 분양가는 지난해 1월 처음으로 1500만 원을 넘겼다. 이후 꾸준한 상승을 보이다가 2024년 말 m²당 평균 1997만 원까지 급등했다.
이는 서울 분양이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집중되면서 분양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풀이다. 실제로 지난해 서초구의 ‘메이플자이’, ‘래미안 원펜타스’ 등 5개 단지가 분양했으며 강남구에서는 ‘청담 르엘’, ‘래미안 레벤투스’,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가, 송파구의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등 총 9개 단지가 강남3구에서 분양했다.
시도별 m²당 분양가를 살펴보면 경남(4.6%),경북(3.4%), 대구(1.5%), 서울(1.1%), 제주(0.6%), 충북(0.5%), 광주(0.4%), 부산(0.3%) 지역이 지난 11월 대비 상승했고 울산과 전북은 보합, 대전(-0.4%), 전남 (-0.6%), 충남(-0.8%), 강원(-1.1%), 경기(-1.5%), 인천 (-2.6%) 지역은 하락했다.
시∙군∙구별로는 서울 광진구의 분양가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광진구에서는 역대 최고 분양가의 ‘포제스한강’이 포함되면서 m²당 분양가는 평균 4029만 원을(12월) 기록했다. 이어 강남구(2948만 원), 서초구(2712만 원), 송파구(2359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가 평균 1700만 원을 넘어서며 서울과 비슷한 수준의 m²당 분양가를 형성했다.
반면 비수도권은 부산 수영구가 1447만 원으로 가장 높은 m²당 분양가를 보였고, 대구 수성구와 부산동구가 평균 1천만 원을 넘겼지만, 서울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남 장흥은 평균 362만 원으로 서울 광진구의 1/11 수준에 불과했다.
황소영 동아닷컴 기자 fangs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 尹 도피설 제기…“관저 빠져나와 제3장소 은신 제보 받아”
- [송평인 칼럼]‘예외 상태’ 망둥이 뛰니 꼴뚜기도 뛴다
- ‘尹체포 재시도’ 한남동 관저 앞 긴장 고조…“즉각 체포” vs “탄핵 무효”
- 尹 죽마고우 이철우 교수 “극우세력 수괴될 줄 몰랐다”
- 서울 올겨울 첫 한파특보… 내일 체감온도 영하 17도
- “왜 째려봐” 유동규, 법정서 이재명에 고성…재판부 “눈싸움 말라”
- ‘대선후보 단일화 후회?’ 물음에 안철수 “범죄의혹 후보자보다는 초보 후보자가…”[황형준
- 당정 “27일 설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하루 휴가내면 9일 쉰다
- 사이버트럭 폭발 도운 챗GPT…‘범죄와 만난 첨단기술’ 우려 커진다
- “아빠가 못 걸어요” “친구 기절” 검사하니 독감…응급실 의사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