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상급지…준신축으로 갈아타야" [2025 부동산시장 대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연속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내년 부동산 시장은 '상저하중'의 관망세가 짙어질 전망이다.
29일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025 부동산시장 대전망' 강연회에서 "대출 규제로 거래 자체가 위축된 가운데 경제 성장률 전망이 1.9%로 하향 조정되는 등 지표가 좋지 않다"며 "내년 부동산 시장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상저하고'가 아닌 '상저하중' 정도의 숨 고르기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 기자]
2연속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내년 부동산 시장은 '상저하중'의 관망세가 짙어질 전망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가가 치솟고 지방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상급지 신축 위주로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되 안 되면 10년 이하 준신축으로라도 갈아타야 한다는 조언이다.
29일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025 부동산시장 대전망' 강연회에서 "대출 규제로 거래 자체가 위축된 가운데 경제 성장률 전망이 1.9%로 하향 조정되는 등 지표가 좋지 않다"며 "내년 부동산 시장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상저하고'가 아닌 '상저하중' 정도의 숨 고르기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자기자본을 얼마나 쓸 수 있는지가 중요해진 만큼 주택 구입 타이밍보다는 어디에 구입하느냐에 따라 자산 가치가 달라질 것"이라며 내년에 접근해야 할 지역과 주택 유형을 공개했다.
함영진 랩장은 여전히 수요 대비 공급이 적고 신고가 거래가 꾸준히 이어진 서울을 주도주로 꼽았다. 지방은 지금보다 좋아지기 어렵고, 서울 안에서도 강남이나 한강변 등 상급지와 그렇지 않은 지역과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함영진 랩장은 "서울은 대부분 정비사업으로 공급되는데 이 중 40%만이 일반분양 물량"이라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도 3.3㎡당 6천만원, 7천만원까지 가격이 치솟고 호황기에 육박하는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는 이유"라고 짚었다.
이어 "모든 지역이 동일한 패턴으로 시장이 움직이지 않고 상급지 위주의 갈아타기와 서울 내에서도 장기적으로 자본 이득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의 쏠림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신규 분양시장은 신혼부부나 신생아 특례대출이 가능한 대상 등으로 수혜가 집중되는 만큼 준공 5년 이하 신축부터 10년 이하 준신축까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함 랩장은 "조정대상 지역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가 내년 5월9일 끝날 예정이고 종부세 부담도 여전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다주택자가 시장에 돌아오기는 어렵기 때문에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는 전략이 주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서후기자 shba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