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떼먹은 '악덕 집주인' 명단 공개.."필요한 조치" vs "악순환 발생"
부동산시장 불안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악덕 임대인'의 명단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에 임대차시장에서는 부동산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 중 하나라는 평가와 정보 공개의 범위가 넓어 사생활 침해라는 논란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전·월세 보증금을 상습적으로 미반환한 임대인의 신상 정보 공개를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과거 3년간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강제집행이나 채권보전 조치 등을 2번 이상 받은 집주인이 대상이다. 집주인의 이름·주민등록번호·거주지 등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홈페이지에 게시한다는 계획이다.
HUG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건수와 사고금액은 각각 1595건과 34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사고금액은 2018년 792억원→2019년 3442억원→2020년 4682억원→지난해 579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역시 2019년 한 해의 사고금액(3442억원)을 한 반기 만에 넘어섰다. 미반환 보증금이 3억원 이하인 사례가 대부분이라 서민·사회초년생이 주요 피해자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전세 사기가 기승을 부리자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이미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과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택도시기금법 일부개정법률안'과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을 발의한 상태다. 전세금을 계획적으로 횡령하는 갭투기꾼과 고의적으로 보증금을 내주지 않는 임대사업자의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법안으로 현재 국회 계류 중이다.
복수의 변호사들은 "개인정보 공개는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거나 공공의 이익에 위배돼야 가능하다"며 "단 두 건의 대위변제 이력이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신상을 공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세입자의 전 재산일 가능성이 큰 전세금을 떼먹는 행위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2019년 8월 50명에 불과했던 나쁜 임대인은 지난달 713명으로 급증했다. 미반환 보증금 규모도 1조147억원에 달한다. 이에 사기 피해자 양산을 막고 임차인 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 행정기관의 역할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개인정보 보호에 민감한 영국도 수년 전 런던시청 홈페이지에 나쁜 임대인 이력 확인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복수의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가해 수법이 점점 대담해지고 다수의 피해자들이 등장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을 반영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꼼꼼한 입법이 이뤄져야 하고, 보증기관은 법원이나 지방자치단체와의 통합 연계 시스템을 도입해 정확한 정보 제공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매매보다 전셋값이 5000만원 더 비싸"…서울 강남권도 깡통 전세 등장
- 5천원 투자해 롯데타워 레지던스 월세받는 김 과장, 비결 알고보니
- 큰 평수는 부담되는데…올해 팔린 아파트 절반이 소형
- 이촌동 한강맨션, 역대 최고 재건축 부담금…가구당 7억7700만원 통보
- 현대건설, 올 상반기 영업이익 3469억원…전년 동기比 1.5%↑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2025년 코인 재테크 ‘4대 키워드’ [가상화폐 ‘슈퍼파워’?]
- ‘어도어 전속계약 해지’ 뉴진스 “민희진과 계속해서 일하고 싶다”[MK★현장]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