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협회 "차기 정부에도 주택가격 상승요인 우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주택협회가 24일 개최한 '2022년 주택시장 전망 설명회'에서 "차기 정부에서도 공급 활성화 기조가 이어지겠지만, 주택가격 상승 요인이 우세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날 발표에 나선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임대차3법 시행에 따른 진통과 공급 부족에 의한 전세가격 상승세가 매매 시장 갈아타기를 이끌며, 서울-수도권-지방 등 경계에 위치한 주변 지역을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차기 정부 공급 활성화 노력에도 청약과 준공(입주) 등 동행지표와 인허가, 전·월세 가격 등 선행지표가 주택가격 상승 방향을 나타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주택협회가 24일 개최한 '2022년 주택시장 전망 설명회'에서 "차기 정부에서도 공급 활성화 기조가 이어지겠지만, 주택가격 상승 요인이 우세하다"는 전망이 나왔다.이날 설명회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규제 강화,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노력 등으로 최근 집값이 약세 전환을 보이고 있으나 대선 이후 불확실성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시장 환경 등을 진단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발표에 나선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임대차3법 시행에 따른 진통과 공급 부족에 의한 전세가격 상승세가 매매 시장 갈아타기를 이끌며, 서울-수도권-지방 등 경계에 위치한 주변 지역을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차기 정부 공급 활성화 노력에도 청약과 준공(입주) 등 동행지표와 인허가, 전·월세 가격 등 선행지표가 주택가격 상승 방향을 나타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일부 주요 하락 변수에 대해선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수석연구원은 "주요 하락 변수로 다주택자 매물 확대와 대출 규제, 금리 상승 등을 들 수 있다"며 "단기간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던 지역에서 가격 부담에 따른 비자발적 수요 이탈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또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논의에서는 안전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허현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이 경영책임자에게 요구하는 것은 안전관리 시스템(안전보건확보의무)을 갖추라는 것"이라며 "시스템이 충실하게 갖춰져 있다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안전보건확보의무 위반이 인정되지 않거나 인과관계가 부정돼 반드시 경영책임자가 형사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니다"고 전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딸이 있다고?"..코요태 신지 '7살 연하' 예비신랑, 뜻밖의 고백
- 초3 여아 유괴 시도 70대... 차량에선 콘돔·발기부전제 발견
- 이봉원, ♥박미선 생각에 연신 눈물 "가장 아플때 같이 못 있어줘"
- 재혼 이상민, 10세연하 부인 공개…시험관 도전
- 쓰러진 여대생 결국 사망…원인은 '고용량 카페인'? [헬스톡]
- '킬링로맨스' 배우 이서이, 43세 안타까운 사망…뒤늦게 알려져
- 남편 '무정자증'인데…상간녀·아내 둘 다 임신
- 187억에 성수동 아파트 매도한 최란·이충희 부부, 8년 만에 150억 시세 차익
- "야동 매일 보면서 내겐 '섹스 리스'…결혼하자는데" 30대女 고민
- 김종국 "62억 빌라, 결혼 준비 맞다…♥여친 공개는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