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가 아파트 쓸어담아 폭리?..통계 뜯어보니 '착각'
지난 3일 대선 후보 1차 토론회.
"이번 정부 들어 집값 폭등의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느냐"(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공급 부족에 수요가 왜곡돼서 그랬을 것이다. 특히 임대사업자 보호정책 때문에 그랬을 가능성이 많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여기서 잡힌 아파트 비중도 매우 보수적으로 추산된 수치다. 전용 40㎡ 이하 원투룸형 구조지만, 건물이 5층 이상이어서 아파트로 잡힌 물량도 다수 포함됐다. 성창엽 대한주택임대인협회 회장은 "아파트로 잡힌 16% 비중도 매우 보수적인 수치"라며 "3인 가구가 살기 어려운 원투룸 주택이나 준공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까지 포함한 것"이라고 했다.
정부도 이 같은 현실을 인지하고 있다. 윤성원 국토교통부 1차관은 지난해 3월 임시국회에서 "전체 임대사업자가 갖고 있는 (주택) 물량 대부분이 다세대, 다가구, 연립이고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도 안 된다"며 "이게 10% 물량이지만 자동말소가 되면 그 물량 중에서 일부는 시장에 매물로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대사업자가 처분할 수 있는 아파트 물량을 10%로 가정하면 약 15만 가구다. 이 가운데 약 60%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분포돼 있다. 특히 임대사업자 보유 주택 중 절반이 전용 40㎡ 이하 소형 평형이다. 일부 물량이 매물로 나와도 선호도가 높은 전용 59㎡, 전용 84㎡ 아파트 수요를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성 회장은 "마치 모든 임대사업자가 시내 좋은 입지에 고가 아파트를 여러채 보유해 높은 시세차익을 얻거나 임대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건 정책 실패로 집값이 급등한 것을 덮으려는 마녀사냥"이라며 "임대사업자 육성 정책이 잘못됐고 투기를 조장했다면 왜 30년 전부터 정부가 제도를 운영했겠나"라고 했다.
정부는 2020년 7.10 대책을 통해 4년 단기임대, 8년 아파트 매입임대를 폐지하고 기존 등록자는 기한이 지나면 자동말소토록 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 집값 급등 원인으로 임대사업자 세제혜택을 거론하자 기존 정책 방향을 뒤엎고 규제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당정은 당초 임대사업자가 보유한 비아파트에 대한 세제 혜택 폐지도 검토했으나, 전세난 가중 등 시장 불안을 고려해 결국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여전히 임대사업자 세금 혜택이 과도하다는 반론이 나온다. 송기균 집값정상화 시민행동 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집권 첫해인 2017년 12월 주택 임대사업자에 유례없는 세금특혜를 약속했다"며 "재산세 100% 감면, 종부세 100% 비과세 등 세금특혜 정책이 발표되자 다주택자들이 보유 주택을 매도하지 않고 추가로 매수한 결과 집값이 폭등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가 임대사업자 보유 아파트 통계를 늑장 공개한 것도 논란거리다. 정부는 그동안 매년 3월경 통계누리 시스템에 전년도 민간임대주택 등록 현황을 등록했다. 협회는 이를 고려해 지난해 3월부터 정보공개를 요청했지만, 코로나 등을 이유로 미루다가 약 11개월 뒤에서야 공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국민 첫사랑' 손예진, ♥현빈 향한 고백…"지금 사랑이 첫 사랑" - 머니투데이
- 안현수 표정 굳었다…'나쁜 손' 中런쯔웨이 "저급한 실수" 인정 - 머니투데이
- 간병인 더듬으며 "일이라 생각해"...김새롬 "징역 2천년 받길" - 머니투데이
- 고수, 망사 상의에 꽃무늬 바지…영원히 고통받는 '짤' 해명 - 머니투데이
- 아오이 유우, 첫 아이 임신…8살 연상 개그맨과 결혼 3년만에 - 머니투데이
- 심형래, 전 연인에 스토킹 당했다…"하루 문자만 400통" - 머니투데이
- 부하직원 잔고 보고 "거지냐", 車 돌진 위협도…새마을금고 한 부장의 최후 - 머니투데이
- "노팬티였는데 바지 벗겨져"…우지원, 극성팬 일화에 '깜짝' - 머니투데이
- [속보]김문수 "국가 예산지출 5% 이상 R&D에 투자" - 머니투데이
- [속보]김문수 "지자체장 신청시 최저임금제·근로시간 특례 규제 권한 부여"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