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막았는데 별무소용" 15억원 넘는 아파트, 2년간 26%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가격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2년 동안 2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의 대형아파트는 12·16대책 발표 당시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이 25억9884만원으로 대출 금지선을 훌쩍 넘었지만 현재는 당시보다 약 5억원 상승한 31억244만원을 나타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15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가격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2년 동안 2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2019년 '12·16 대책'을 통해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대출 금지를 발표했을 당시 서울에서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매매가 시세는 14억7934만원으로 대출금지의 경계선에 위치했다.
하지만 이후 가격 오름세가 이어지며 작년 말에는 14.11% 상승한 16억9641만원을 기록했다. 또 이달에는 18억7824만원까지 상승했다. 결과적으로 초고가 아파트의 대출금지 이후에도 26% 가량 상승하며 상승액 기준으로 4억원이나 높아졌다.
특히 강남구의 대형아파트는 12·16대책 발표 당시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이 25억9884만원으로 대출 금지선을 훌쩍 넘었지만 현재는 당시보다 약 5억원 상승한 31억244만원을 나타냈다.
또 △서초(20%ㆍ5억2000만원 상승) △송파(28%ㆍ5억원 상승) △용산(20%ㆍ4억4000만원 상승) △광진(21%ㆍ3억2000만원 상승) 등으로 확인된다. 대출 금지라는 특단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상승흐름이 제어되지 못했다고 진단이 나온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통해 총량규제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조기 도입을 예고했지만, 2년 전 대출을 전면 금지했던 사례를 고려할 때 인위적인 대출 억제 정책의 한계점이 노출될 가능성도 엿보인다"고 설명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인들 우르르 몰려와 싹쓸이" 매출 100배 폭등…유커특수에 오랜만에 함박웃음 - 아시아경제
- 맨 얼굴 맞아?…다섯 번이나 "화장 지워" 말 들은 中 수험생, 결말은? - 아시아경제
- 국회의원 추석 떡값 425만원…野김미애 "송구한 마음, 기부할 것" - 아시아경제
- "배움 부족, 팬들께 사과" 故 김광석 노래 표절 日 밴드 음원 철회 - 아시아경제
- 여친 딸 납치 음란행위 20대 남성…웃으며 양손 '브이' 짓자 日 공분 - 아시아경제
- 어쩐지 깔끔했다?…"직원 7명이 24시간 尹 수발" 폭로글에 '발칵' - 아시아경제
- "머리카락 잡아당기고 17차례 뺨 때려" 中 학폭 확산…"시진핑 정권 경계" 日 언론 진단 - 아시아
- "기싸움 하는 거냐"…엘베 개똥 방치한 견주 '한자 사과문' 논란 - 아시아경제
- 매년 주던 '특식' 올해는 없다…구치소서 추석 맞는 尹 부부 - 아시아경제
- "물도 안주고 무시" 환경미화원 살해한 중국인 징역 25년 확정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