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등록임대주택, 등기에 의무기간·임대료 등 부기 의무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12월부터 등록임대주택은 소유권 등기에 임대의무기간을 부기 등기하도록 의무화된다.
또 임대사업자가 보증금 반환을 미룰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 직권으로 임대주택 등록말소를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개정안은 12월 10일부터 임대사업자가 임대보증금 반환을 지연해 명백히 임차인 피해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 직권으로 임대사업자의 등록을 말소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오는 12월부터 등록임대주택은 소유권 등기에 임대의무기간을 부기 등기하도록 의무화된다. 또 임대사업자가 보증금 반환을 미룰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 직권으로 임대주택 등록말소를 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민간임대주택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오는 2일부터 내달 12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임대사업자가 등록한 민간임대는 임대 의무기간이 설정돼 있고 임대료를 5% 이상 증액하지 못하는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장치가 있다.
그러나 임차인이 계약하는 주택에 대해 등록임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개정안은 임대사업자가 등록임대가 임대의무 기간과 임대료 증액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재산임을 소유권 등기에 부기등기 하도록 했다.
개정안 시행 전에 소유권 보존등기를 한 민간임대주택의 경우 시행 후 2년 이내에 부기등기를 해야 한다. 부기 등기는 임대사업자 등록 후 곧바로 해야 하되, 등록 이후 소유권 보존등기를 하는 경우 그 보존등기와 동시에 해야 한다.
아울러 개정안은 12월 10일부터 임대사업자가 임대보증금 반환을 지연해 명백히 임차인 피해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 직권으로 임대사업자의 등록을 말소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직권말소가 가능한 세부 사유는 임차인이 제기한 보증금 반환청구 소송에서 승소 판결이 확정됐거나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서 보증금 반환에 대한 조정이 성립하였음에도 임대사업자가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다.
또 등록임대주택이 단독·다중·다가구주택이면 임대사업자가 해당 주택에 대한 선순위보증금 정보를 임대차계약 시 예비 임차인에게 제공해야 한다.
같은 주택에 둘 이상의 임대차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임차인이 해당 주택 내 선순위보증금을 확인하기가 어려워 추후 보증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이밖에 국토부는 임대사업자에 대한 관리 강화와 등록임대사업 지원 등 그 밖의 제도 개선 사항도 이번에 함께 입법 예고했다.
부기등기를 하지 않거나 임대보증금 상한을 준수하지 않은 임대사업자는 위반 차수별로 과태료 부과액(현행법상 500만원 한도)이 세분화된다.
또 기존에는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을 위해 필요한 주택가격의 산정 방법으로 감정평가액을 적용했지만, 임대사업자 부담 경감을 위해 앞으로는 공시가격(가격이 공시되지 않은 경우 국세청장이 산정·고시하는 기준시가)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asj0525@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3 대선’ 국민 선택은…민주 중심 정권 교체 49.9% vs 국힘 유지 39.1% [쿠키뉴스 여론조사]
- ‘계엄, 때렸수다’ 주점 논란…“풍자” vs “희화화” 비판에 고려대 학생회 사과
- 이재명 48.9%·김문수 39.1%...민주 41.9%·국힘 36.7% [쿠키뉴스 여론조사]
- 김용태 ‘배우자 TV토론’…“반성의 의미…영부인 문제도 알 권리” [21대 대선]
- 윤석열‚ 대선 13일 앞두고…‘부정선거’ 주장 다큐 관람
- 기록 사라진 SKT 해킹 수사 ‘안갯속’…“통신사 반복 사고 고리 끊어야”
- “투표하러 갈 시간, 회사에 당당히 말하세요” [21대 대선]
- 국힘 “尹, 이미 탈당한 자연인”…이준석·한덕수엔 ‘러브콜’ [21대 대선]
- 한미, ‘관세 조율’ 2차실무협의 시작…대선 전 사실상 마지막 협의
- 1분기 주요 보험사 실적 가른 ‘예실차’…올해 전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