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상한' 예외라 해놓고 "안된다"..'특별법'보다 센 막강 '임대차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후 지난해 9월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했고 올해 재계약을 앞둔 상태다.
이번에 배포된 해설서에는 기존 세입자가 있는 상태에서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경우 상한제 적용 여부에 대해 '민특법상 임차인이라고 하더라도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청구권)이 배제되지 않으며 임대료 인상률 상한 5%가 적용된다'고 적시돼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별법 우선적용 원칙 불구
文정부, 일반법에 우위 둬
임대업자, 靑청원 등 반발
문제는 지난해 10월24일부터 개정돼 시행 중인 민특법을 보면 내용이 다르다. 개정 법률 시행 전인 10월23일 이전 등록한 임대사업자의 경우 존속 중인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고 나서 재계약할 때 사업자가 임대료를 정할 수 있도록 했다. 개정 법률을 통해 정부가 현재 취지대로 바꾸기는 했지만 이전 사례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는 지난해 10월23일 전 등록한 임대사업자는 기존 세입자가 있었는지와 관계없이 등록 후 첫 계약은 5% 상한 적용을 받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법제처가 지난해 “임대주택 등록 후 처음 계약하는 경우가 ‘최초 임대료’”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임대사업자들은 이를 근거로 일반법보다 우선 시행되는 민특법 해석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임대사업자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일반법이 특별법보다 우선하는 최초 사례를 만드나’라는 글을 올리면서 “아전인수격으로 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려 한다. 당장 철회해달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국토부는 민특법과 임대차보호법 간 충돌이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해석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민특법 3조에 보면 민특법에서 특별히 정하지 않는 사항은 주택임대차보호법 등 다른 법령을 따르도록 돼 있다”며 “기존 민특법에서 계약갱신청구권과 관련한 문제를 다루지 않았던 만큼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해석하면 된다”고 했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이 같은 정부 주장이 사실상 기존 제도에 대한 소급 적용과 마찬가지라며 위헌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최진녕 법무법인 씨케이 대표변호사는 “형식적 논리를 들어 기존에 제도적으로 인정했던 권리를 사실상 소급해 침해하는 것으로 ‘실질적 법치주의’의 문제가 있다”며 “기존 임대사업자의 재산권을 소급에 의해 침해하는 것으로 위헌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당이 진보라니…미래 보지 않고 과거 진창 속에 넣는 '수구세력''
- 송가인, 이렇게 섹시했었나? 트임 원피스·숏팬츠…반전 매력에 '시선집중'
- 범죄소굴 된 랜덤채팅 앱…'18세 여성'으로 가입해봤더니
- 전지현, 오프숄더에 도발적 포즈까지? 보석보다 빛나는 미모 대공개
- '의료 파국 가까스로 피했다'... 정부, 내일 의사 국시 1주일 연기
- '하느님 사랑으로…' 신도 9명 '성폭력 목사' 징역 12년 반발, 대법원 상고
- 조은산 '조목조목' 반박에 말문 막혔나…림태주 '시무 7조' 비판글 내려
- [전문] '이천만 짓밟는 게 정의더냐' 림태주 반박글 조목조목 따진 조은산
- 오늘부터 수도권 학원은 비대면수업만...스터디카페 집합금지
- '현'시세 11프로 올랐단 '미'친 소리…20만 돌파 '시무7조'에 숨겨진 '이행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