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수요자 74% "내년까지 집 사야"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집값이 치솟으면서 주택 실수요자들의 주거 불안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수요자의 4분의 3은 '내년까지 집을 장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4~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B홀에서 개최한 '2020 대한민국 부동산 트렌드쇼'에 참가한 참관객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집을 장만한다면 언제가 좋을까?'란 질문에 응답자의 40%(258명)가 '올해 하반기'라고 답했다. '내년 상반기'란 답변은 19%(125명), '내년 하반기'는 15%(100명)로, 전체 응답자의 74%가 내년까지 집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 이후'라고 답한 사람은 26%(167명)였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응답자의 56%, 40대 응답자의 44%, 20대 응답자의 41%가 '올해 하반기'에 집을 사야 한다고 답해 젊은 실수요층의 주거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주택 구입 가격'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25%가 '5억~7억원 미만'이라고 답했고, 이어 '7억~9억원 미만'(24%), '9억원 이상'(21%), '4억~5억원 미만'(18%) 순이었다.
'집을 사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336명이 '대출 규제 등 주택 구입 자금 부족'을 꼽았고, 이어 '보유세·거래세 등 세금 부담'이란 응답이 25%,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란 응답이 13%였다. 특히 20대는 응답자의 85%가 '주택 구입 자금 부족'을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정부가 공급 대책은 없이 수요만 옥죄다 보니 매물이 줄고 집값이 치솟으면서 '패닉 바잉(공황 구매)' 현상이 심해지고, 이것이 다시 집값을 밀어올리고 있다"며 "정부가 이번 주 발표할 예정인 주택 공급 대책에 국민의 주거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담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 휴게소 ‘1만6900원 갈비탕’에 분노한 이유
- 김여정 “북미 정상 관계 나쁘지 않지만…비핵화 논의는 상대 우롱”
- “비행기 태워주세요”…공항서 무릎 꿇고 오열한 여성, 무슨 일
- 빅테크 AI 지출 증가 기대감에...엔비디아 사상 최고가 또 경신
- 위풍당당 맨홀 빠져나오는 새빨간 트럼프…美 뉴욕에 등장한 이 조각상
- 가족 생계 위해 벼랑끝 시작, 3125원 추어탕으로 연매출 150억원 대박
- [Minute To Read] Shipbuilding at center of South Korea–US trade bargaining
- [더 한장] 그림 같은 파도 밀려오는 다대포
- 대기업 사표 후 인생 걸었다, 서울 공대 출신의 집요한 눈 건강 도전
- “국민연금 한 푼도 못받을 것” 두려운 요즘 자식 세대들이 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