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값 잡혔지만..풍선효과 지역 급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값이 평균 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평균 2.3%, 서초구는 2.2%, 송파구는 1.5%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동대문구는 최근 5개월 사이 아파트값이 평균 10.2% 올랐고, 성북구는 10.1% 오르는 등 10% 넘게 상승했다.
영등포구(5.6%)와 은평구(5.5%), 마포구(5.3%), 중랑구(5.1%)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5%를 넘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는 2% 안팎 상승에 그쳤다. 그러나 동대문·성북구 등 비강남권은 최고 10% 넘게 뛰며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1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65만원으로, 5개월 전인 작년 12월(1016만원)과 비교해 4.9%(49만원) 상승했다. 3.3㎡당 163만원 오르고, 전용면적 84㎡ 아파트 기준으로 보면 40156만원 상승한 셈이다.
'강남 3구'는 서울 전체 25개 구 가운데 오름폭이 가장 적었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평균 2.3%, 서초구는 2.2%, 송파구는 1.5%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동대문구는 최근 5개월 사이 아파트값이 평균 10.2% 올랐고, 성북구는 10.1% 오르는 등 10% 넘게 상승했다.
강북구(7.7%)와 구로구(7.3%), 금천구(7.2%), 관악구(7.0%)가 7% 넘게 올랐고, 성동구(6.9%), 강동구(6.5%), 서대문구(6.4%), 양천구(6.4%), 동작구(6.0%)도 6% 넘게 상승했다. 영등포구(5.6%)와 은평구(5.5%), 마포구(5.3%), 중랑구(5.1%)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5%를 넘겼다.
정부가 12·16대책에서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한 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초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권 아파트값은 오름세가 꺾였지만, 비강남권의 9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은 풍선효과로 가격이 더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 3구'를 제외하면 최근 아파트값이 급등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중 한 곳인 용산구가 유일하게 11억6209만원으로 10억원을 넘겼고, 성동구(9억9666만원)와 마포구(9억6949만원)는 10억원 턱밑까지 올랐다.
서울에서 84㎡ 아파트값이 평균 6억원 이하인 곳은 은평구(5억8707만원), 강북구(5억5437만원), 중랑구(5억4622만원), 금천구(5억4140만원), 도봉구(5억3102만원) 등 5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broady0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1대 시작부터 '동상이몽'에 '각자도생'..원구성 힘겨루기
- 하태경이 동료 민경욱의 저격수로 나선 이유
- 美폭력시위에 자성의 목소리 "이러려고 나온게 아닌데"
- 어제는 국회의원, 오늘은 靑비서관..박경미 파격 발탁 배경은?
- 32년만에 나타난 엄마, 소방관 딸 순직하자 돈만 받아갔다
- "농장 취업 위해.." 中서 보트타고 태안 밀입국 2명 추가 검거
- 미국 다녀온 제주 15번째 확진자..승객 등 25명 접촉
- 물류센터 집단감염 111명으로..선교회·학원 등 확진 계속
- 日, 한국·중국 제외한 4개국 입국 완화 검토
- 현실화된 홍콩보안법 시대..홍콩의 중국화 가속화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