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파느니 물려주겠다" 15억 넘는 아파트 거래 비중 급감
"매매 대신 증여 택했다" 분석도
올 들어 서울 초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에서 15억원 넘는 아파트 매매 거래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와 자금출처조사 등 정부 규제 영향에다, 매매 대신 증여를 선택하는 집주인이 늘며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15억원 넘는 아파트 거래 비중 ‘뚝’
20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지난해와 올해(3월까지 거래량)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초구 아파트 매매 거래 중 15억원이 넘는 아파트 비중은 37.5%였다. 지난해 53.8%보다 16.3%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강남구(61.8%→53.8%), 송파구(29.9%→24.1%), 용산구(32.9%→23.5%)도 감소했다.
반면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소폭 늘었다. 강남구에서 27.1%에서 22.7%로 4.4%포인트 하락한 것을 제외하고는 서초(32%→33.2%), 송파(34.4%→35.7%), 용산(43.6%→45.5%) 모두 증가했다.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에서 15억원 넘는 아파트 대출을 금지했지만, 15억원 이하 아파트에선 20~40% 대출이 가능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비싼 아파트가 덜 팔리면서 평균 매매가격은 감소했다.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올해 6억6987만원으로 지난해(8억1989만원) 대비 18.3% 감소했다. 강남구 아파트는 평균 매매 가격이 18억35만원에서 16억267만원으로 2억원 가까이 내려갔다. 서초구와 용산구 역시 2억원 넘게 떨어졌다.
서울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상위 10% 아파트의 거래 가격도 내림세로 돌아섰다. 2013년 7억7000만원을 시작으로 상승세를 보이던 상위 10% 아파트 가격은 2018년 12억원에서 지난해 15억5000만원으로 29.1% 급등했다. 그러다가 올해는 11억2000만원으로 줄었다.
◇강남 부자들, 매매 대신 증여
직방은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감소한 주요 원인으로 대출규제, 자금출처 조사 등 직접적인 규제와 함께 증여 증가를 꼽았다. 현 정부 들어 보유세 부담이 급증한 다주택자들이 집을 팔기보다는 자녀 등에게 집을 증여하는 방식으로 절세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실제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 중 증여 건수는 2017년 7408건에서 2018년 1만5397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지난해에도 1만2514건을 기록했다. 비중으로 보면 전체 거래 중 증여 비율이 2018년 이전에는 2~4% 내외였지만, 지난해엔 9.7%까지 급등했다.
올해도 서울 아파트 증여 건수는 2월 기준 2979건으로, 전체 거래의 8.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고가주택이 밀집한 강남3구에서는 증여 비중이 13.4%(830건)에 달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증여 성격을 띤 매매 거래까지 감안하면 실제 증여 비중은 공개된 수치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관세 협상 조기 타결 필요없어” 김문수 “트럼프와는 내가 가장 신뢰 관계”
- 金 “노란봉투법 밀어붙이나”... 李 “대법도 인정, 당연히 해야”
-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 경찰 “수사 중”
- “커피 원가 120원?” “호텔 결제 취소해도 돈 돈다?” 난상 토론
- 이재명 “유능한 국민의 일꾼”... 김문수 “일자리 민생 대통령”
- [만물상] 아이들 함성이 ‘소음’?
- 연장까지 하루 37홀 돌며 역전승… 통산 3승 엄재웅 “하늘에서 주신 우승”
- 광주 광산구, 내일부터 금호타이어 화재 주민 피해 조사
- 교황 레오 14세 공식 즉위 “평화가 지배하는 세상 만들자”
- 트럼프, 관세 전쟁 중에 ‘美 신용 강등’ 찬물 뒤집어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