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미안공덕5차, 1216대책·코로나에도 '신고가 연속 경신' 기염..반면 중대형 헐값 거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11년 준공되며 아현뉴타운 시대를 개막한 '래미안공덕5차'에 부동산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인근에서 부동산 투자 및 이와 관련된 사기ㆍ횡령ㆍ배임 등의 사건을 다뤄온 '법률사무소 재율'의 금윤화(37, 변호사) 대표는 "마포구의 대표적 인기 단지인 래미안공덕5차의 15억원 미만 소형 평형 거래 상황을 보면 핵심지 주요 단지들에 대한 시장의 에너지는 여전히 살아있는 듯 하다"면서도 "1216대책으로 대출이 전면 금지된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시세 부침을 거듭하며 불안정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1년 준공되며 아현뉴타운 시대를 개막한 ‘래미안공덕5차’에 부동산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216대책 이후 최근까지도 연달아 신고가 경신 소식이 나오는 반면, 1216대책 이전 17억원대로 평가받던 매물이 15억원 미만에 거래되는 등 비슷한 시기 같은 단지에서 ‘모순된 현상’이 빚어진 까닭이다.
정부의 1216대책 및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아파트 시장을 주도하던 강남3구(강남ㆍ서초ㆍ송파구)와 강북3구(마포ㆍ용산ㆍ성동구)의 상승세는 한풀 꺽였다. KB부동산리브온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 매매 전망지수는 99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 미만으로 내려간 것은 9개월만의 일이다.
이런 상황에도 아랑곳없이 래미안공덕5차는 종전 실거래 최고가를 계속 갈아치우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의하면 작년 12월 하순 이 아파트 전용 59㎡ 매물은 11억8000만원(12층)에 거래됐다. 마포구 아파트 중 1216대책 이후 처음으로 신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그 후로도 동일 평형 매물이 지난 1월 초순 11억9500만원(9층), 1월 중순 12억1000만원(11층), 2월 하순 12억1700만원(9층)에 팔렸고, 3월 초순 저층 매물마저 12억2000만원(3층)에 거래되며, 침체된 시장 분위기에서도 매 거래마다 최고가를 경신했다.
현재 래미안공덕5차에서는 신규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으나, 면적별 매매가는 로얄층 호가 기준 ▲ 전용 59㎡ 12억7000만원 전후(이전 실거래가 12억2000만원, 올해 3월 초순) ▲ 전용 84㎡ 15억1000만원 전후(이전 실거래가 14억2000만원, 작년 12월 초순) ▲ 전용 114㎡ 17억3000만원 전후(이전 실거래가 15억8000만원, 작년 11월 중순)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1216대책 이후 래미안공덕5차 전용 114㎡ 저층 급매물은 시세보다 상당히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마포구 공덕동에 자리한 이 아파트 전용 114㎡ 세대는 마포대로 및 다양한 편의시설에 가까운 평지에 자리해 시장에서 ‘입지가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럼에도 지난 1월, 17억원 이상으로 평가받던 매물이 15억원 미만인 14억8000만원(1층)에 팔린 것이다. 전용 59㎡와 전용 114㎡의 실거래가는 불과 2억6000만원까지 좁혀졌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래미안공덕5차의 연속적 신고가 경신과 중대형 급매물 매도 소식이 한동안 거래가 뜸해진 마포구 주변 단지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인근에서 부동산 투자 및 이와 관련된 사기ㆍ횡령ㆍ배임 등의 사건을 다뤄온 ‘법률사무소 재율’의 금윤화(37, 변호사) 대표는 “마포구의 대표적 인기 단지인 래미안공덕5차의 15억원 미만 소형 평형 거래 상황을 보면 핵심지 주요 단지들에 대한 시장의 에너지는 여전히 살아있는 듯 하다”면서도 “1216대책으로 대출이 전면 금지된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시세 부침을 거듭하며 불안정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3세라고? 50대인 줄"…이길여 가천대 총장 근황에 '깜짝' - 아시아경제
- "한국인·중국인은 오지마"…일본 식당들, 줄줄이 '출입금지' 왜? - 아시아경제
- 손흥민, 공갈 혐의로 20대 여성 고소…"임신 속여 수억원 금품 요구" - 아시아경제
- 성수기 에베레스트 간다고?…"입산료 2100만원 입니다" - 아시아경제
- "임신한 척 편하게 지내더라"…감옥서도 사기 친 전청조 - 아시아경제
- '세종대왕 나신 날' 영상에 日신사…"있을 수 없는 일" - 아시아경제
- "인도 전투기 격추됐다" 中 조롱 영상 1억뷰 돌파…인도인들 분노 - 아시아경제
- "과소평가했다" 목표주가 140만원대 '픽'…깜짝실적에 황제주 등극한 삼양식품[특징주] - 아시아
- 유시민 "이재명 최소 55% 김문수 최대 35% 득표"…근거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韓,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서 전원 입상…이혁준 학생 종합 1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