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계양‧부천대장‧창원 등 S-BRT 시범사업지로 선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기존의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지하철 수준으로 향상시킨 'S-BRT 표준 지침'을 마련하고, 인천계양·부천대장, 창원, 인천, 성남, 세종 총 5곳을 시범사업으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12월 수도권 광역교통개선대책에서 지하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S-BRT를 도입키로 하고, 이번에 S-BRT 표준가이드라인을 마련, 시범사업을 선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기존의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지하철 수준으로 향상시킨 'S-BRT 표준 지침'을 마련하고, 인천계양·부천대장, 창원, 인천, 성남, 세종 총 5곳을 시범사업으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BRT는 국내에 2004년부터 도시철도 대비 저비용·고효율의 대중교통 수단으로 서울, 경기, 세종 등 총 24개소에 도입됐다. 하지만 대부분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으로 건설·운영됨에 따라 당초 도입 시 기대했던 서비스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12월 수도권 광역교통개선대책에서 지하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S-BRT를 도입키로 하고, 이번에 S-BRT 표준가이드라인을 마련, 시범사업을 선정했다.
S-BRT는 빠른 속도와 편리성으로 지하철 수준의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고급형 BRT다. 급행기준 평균 운행속도 35km/h(일반 25km/h), 출·도착 일정 2분 이내가 목표 서비스 수준이다.
국토부는 한국교통연구원 등 BRT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 및 노선 유형 등을 고려해 총 5개 노선을 시범사업으로 선정했다.
인천계양·부천대장 BRT(김포공항역~박촌역~부천종합운동장역) 총 17.3km로 3기 신도시 계양·대장지구를 GTX, 9호선 등 인근 주요 지하철역으로 연결해 출·퇴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 BRT(창원시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는 총9.3km로 주요 간선도로에 개발계획을 수립 중인 노선이다. 인천 BRT(인하대∼서인천, L=9.4km)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과 연계 추진하고, 기존 운영 중인 청라-강서 BRT와 연결해 인천~서울 간 광역 BRT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남 BRT(남한산성입구∼모란역사거리, L=5.2km)는 구도심의 주요도로인 산성대로의 버스서비스를 고급화하고 지하철(분당선, 8호선)과 주요 간선도로(성남대로)와 연결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운영 중인 세종 BRT(반곡동~세종터미널~한별리, L=22.9km)에 대해 정류장 첨단화(냉·난방시설, wifi 등), 전기·굴절버스, 우선신호시스템, 사전요금시스템 도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부관계 피하는 남편…아내, 결국 '속옷 냄새' 검사
- 남편에게 모유 수유한 美 부부 화제…"지금도 그 때가 그리워"
- "손발 묶인 시체 여러 구 발견"…'죽음의 바다'된 이곳 근황
- 흉기에 찔린 채 알몸 상태로 숨진 남편…70대 아내 구속
- 최진실 딸 최준희, 골반 괴사 고통 "뼈 썩고 있다"
- 점심시간에 교실서 제자와 성관계…30대 수학 女교사 체포
- 대구서 일가족 3명, 주차된 차량서 숨진 채 발견
- 생후 1주일 신생아 뇌출혈…CCTV 속 충격적 진실
- '8년 억울한 옥살이' 中 남성…진범 제보에 1억 현상금 걸어
- "일처다부제 취향이라니"…남편은 그녀의 'N번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