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대책 여파 움츠렸던 분양시장 기지개..연말 '큰장' 선다
[경향신문] 11·3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움츠렸던 분양시장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강남 4구 등 분양권 거래가 금지된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꺾이고 있는 가운데 전매 제한이 없는 지방의 민간택지를 중심으로 연말까지 총 2만8000여 가구가 주택시장에 쏟아질 예정이다.
1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의 집계에 따르면 이달 중순 이후 연말까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민간택지에서 총 2만7660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렇게 한꺼번에 많은 물량이 쏟아지는 이유는 지난 15일부터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중단됐던 분양보증 발급 업무를 재개했기 때문이다.
앞서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1·3 부동산 대책에 따라 규제대상 지역의 분양권 전매제한은 지난 3일 이후 입주자 모집을 공고한 단지부터, 재당첨 제한 및 1순위 요건 강화는 15일 주택공급규칙 개정 이후부터 시행됐다. 이에 주택도시보증공사는 11·3 대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규칙 개정 전까지 대책에 포함된 대상 지역에 대한 분양보증 발급을 잠정 중단했었다.
이 기간 동안 보증 심사 신청 단지들이 밀려 있었던 만큼 분양 보증서 발급에 속도가 붙으면서 오는 25일부터 견본주택이 속속 문을 여는 등 연내 막판 분양 물량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 말까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예정된 분양 물량은 총 4만3568가구로, 이중 민간택지 분양물량은 전체의 63.5%인 2만7660가구다. 지난해와 견줘선 같은 기간 민간택지 물량이 2617가구 감소했다. 전체 공급물량에서 민간택지 공급 비중이 지난해(83.9%)보다 줄어들고 공공택지는 전매제한이 시행 중이라 민간택지 분양 아파트로 청약이 상대적으로 쏠릴 가능성이 있다는 업계의 관측이 나온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지방권역의 경우 민간택지 전매 제한이 없고 부산은 이번 대책으로 청약자격의 제한은 생겼지만 분양권 전매는 여전히 가능하기 때문에 관망세가 어느 정도 지나고 나면 청약자들이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비강남권을 중심으로 신규 분양이 예정돼 있다. 서울에서 분양하는 주요 단지로는 삼성물산이 서울 성북구 석관동에 분양하는 ‘래미안 아트리치’(616가구 일반 분양), 대우건설이 서울 서대문구 연희1구역에 공급하는 ‘연희 파크 푸르지오’(288가구 일반 분양), GS건설이 서울 양천구에 공급하는 ‘목동 파크자이’(388가구 일반 분양) 등이 있다. 강남권에선 현대산업개발이 잠실권역의 풍납우성아파트를 재건축한 ‘잠실 올림픽 아이파크’(92가구 일반 분양)를 분양한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청래 “강선우 힘내시라···든든한 울타리 되겠다” 당 대표 선출 직후 통화
- ‘속옷 버티기’ 논란에 윤석열 측 “평소에도 체온조절하려고 수의 벗는다”
- 쿠팡 물류센터 일해 보니···숨은 막히고 비지땀 줄줄, 그 노동엔 에어컨이 없었다
- [속보]특검, ‘경향신문 등 단전·단수’ 이상민 4일 소환 통보···첫 출정 조사
- 호우 특보 내려진 날, 하천변 노숙인···구청 직원이 발견, 대피·자활까지 도왔다
- 제니가 신은 게 발가락 양말이야 신발이야···알고 보니 ‘핫템’이었네
- 일 강제동원 사과·피해배상 앞장선 양금덕 할머니, 국민훈장 수훈
- 3년 만에 폐지되는 ‘경찰국’…행안부, 8월까지 직제 개편 완료키로
- 평균운임 최대 28% 더 올린 아시아나항공, 이행강제금 121억
- 제주 하수처리장 공사 현장서 가스 누출…노동자 4명 중경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