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되고 낡은 '직장여성아파트'를 '행복주택'으로 리폼한다
|
19일 김경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왼쪽 세번째), 고영선 고용노동부 장관(왼쪽 두번째), 이재갑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왼쪽 네번째), 박상우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은 직장여성아파트의 행복주택으로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한 후 협약서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직장여성아파트를 행복주택으로 재건축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저소득 여성근로자들의 주거의 질을 높이면서도, 주거빈곤계층에게 더 많은 행복주택을 공급할 예정이어서 부처, 기관간 좋은 협업 사례로 보여진다.
현재 전국 6개 지역에 820가구의 직장여성아파트가 운영되고 있다. 이를 행복주택으로 재건축할 경우 약 1610가구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근로복지공단과 LH공사는 직장여성근로자 주거안정에 우선하고자 직장여성아파트 현 입주가구인 820가구를 직장여성들에게 우선적으로 특별공급하고, 나머지는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행복주택 입주대상자에게 배정하기로 했다.
직장여성아파트는 고용노동부가 저소득 여성근로자의 주거안정과 실질소득 보장을 위해 지난 1988~1990년에 건립하고 근로복지공단이 35세 이하 저소득 무주택 여성근로자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운영해 왔지만 최근 건물이 노후화 돼 관리의 어려움과 일부 공실 발생 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동수 국토교통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본 사업은 도심 내 노후 된 임대아파트를 재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과 행복주택 공급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도심부에 행복주택을 더 많이 건설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평했다.
국토부 측은 직장여성아파트가 행복주택으로 재건축되면 젊은 계층을 위한 다양한 부대복리시설과 인근 주민도 이용할 수 있는 주민공공시설이 함께 건설됨으로서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돼 주거여건은 물론, 주변 주거환경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H와 근로복지공단은 올해 말까지 행복주택 사업승인을 추진한다. 다만 추진과정에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임대기간 보장 및 주거안정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즈원 크리스탈, 이민 발인 후 "완전히 무너져"
- "과거 만났던 여배우 사진 갖고 있어" 이창훈, 아내 폭로에 진땀
- 슈 "남편이 빚 수억 변제"…임효성 "떨어져 살기도, 슈 살려야겠다는 생각 밖에"
- 점심 때마다 직장 동료와 모텔 다닌 아내…셋째 딸, 친자 아니었다 [헤어질 결심]
- 또래 여고생 성관계 영상 뿌린 日 여고생 체포
- '음주운전' 송영규, 생전 우울함·무기력증 호소 "악순환 이어졌다"
- "창문 밖서 아내 알몸 다 보여"…경주 유명 호텔 사우나 '충격' 노출
- "절친 형부가 내 동료랑 불륜 중…나만 알고 있어야 하나요?"
- "그 때 쓴 각서 다 무효야!"…신혼 초부터 바람 핀 남편의 '적반하장'
- 인천서 지병 앓던 20대 남성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