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립까지 위협"..'지금이 바닥' 장담 못하는 건설

박대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산업경제팀 수석연구원 2014. 1. 20. 0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4 업종별 전망 ③건설

'상장 건설사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아…건설경기 침체의 수준을 넘어 업계의 존립까지 위협'. 지난해 6월 대한건설협회의 보도자료 타이틀이다.

건설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격하게 침체되면서 업계의 존립까지 위협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건설경기 관련 지표들만 봐도 이를 단순히 업계의 투정이라고 치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건설공사 계약실적을 의미하는 국내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9월까지 14개월 연속 전년 동기대비 감소세를 지속했다. 대다수 업체들의 영업실적과 재무건전성도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언제부터인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대상업체가 이번에는 어디인지를 관심있게 보게 됐다.

매년 수백억달러를 수주하는 등 쾌거를 이뤘던 해외시장의 상황도 좋지만은 않다. 국내시장의 침체로 해외시장 진출에 사활을 걸게 된 건설사들이 과열경쟁에 따른 저가수주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 것. 몇몇 건설사들은 어닝쇼크의 찬바람을 맞으며 또 다른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업계는 미래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채 화려했던 황금기를 벗어나 제2의 도약을 위한 성장통을 겪고 있다. 이제 건설업에 대한 관전 포인트는 위태로운 업계의 생존전략이 돼야 한다. 단순히 단기적 경기변동에 일희일비할 상황이 아니라는 얘기다.

2014년 국면전환, 요원하다

지난해 11월 누적 국내 수주액은 전년 동기대비 20% 감소했다. 2003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다. 건설경기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데 이견의 여지조차 없어 보인다.

지난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설업 침체기는 지금까지 유례를 찾기 힘든 6년이란 기간을 넘어서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그 누구도 지금이 바닥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올해 건설업계는 현금창출력이나 자금동원력 면에서 개선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경영난 또한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현재 국내 건설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공사 물량은 많지 않다. 지난해 9월까지 14개월 연속 감소한 수주액은 최근의 기성액(당년도에 시공한 공사액) 증가세 마저 꺾어버릴 기세다. 실제로 해외건설 비중이 높은 상위 건설사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건설사의 수주잔고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최근 건설산업연구원은 2014년 건설수주액이 전년대비 3.6%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정확히 10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정부의 SOC 투자예산이 1조원 이상 감소하고 재정건전성 논란이 불거진 공공기관도 신규투자 확대를 꾀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해외건설의 어닝쇼크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몇몇 대형사들의 점진적 영업실적 개선이 점쳐지기도 한다.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전년에 이어 650억달러를 기록했다. 과거 과열경쟁으로 인한 저가수주가 만연했던 시기에 뒤지지 않는 우수한 성적이다.

상장건설사의 절반 이상이 마이너스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동성 위기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높은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잠재적 위험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건설업 신규대출은 동결된지 오래고 기존 대출의 연체율도 높아져 은행권의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상위권 건설사의 신용등급 강등도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나 올해 건설사의 회사채 만기액이 총 4조원을 상회하고 있어 회사채·기업어음(CP) 등 시장성 차입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일까. 최근 국회를 통과한 주택관련 법안들이 시장에 활력을 줄 것이란 기대감도 없지는 않다. 일각에서는 주택시장이 바닥을 쳤다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일부 고급 수요지역에 국한된 이야기일 뿐이다. 오히려 올해부터 급증하는 아파트 입주물량에 따른 공급과잉을 걱정해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이 간다.

공사물량에 일희일비할 때 지났다

국내의 경우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건설업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GDP(국내총생산) 대비 건설투자 또는 SOC 재정규모가 주요 선진국의 2배에 달할 정도로 국내 건설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큰 편이다.

과거 선진국의 경제발전 과정을 고려할 때 국내 건설업 비중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단기적 부침은 있을지언정 추세적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경기의 회복을 위해 건설수주액 100조원 시대의 황금기를 그리워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제 공사물량만으로 건설경기의 호·불황이 좌우되는 시기는 지났다. 주택수급이나 정부의 SOC 예산편성, 그에 따른 건설수주액의 증감이 아니라 향후 수십년을 지탱할 수 있는 건설업계의 생존전략이 마련돼 있는지 고민해야 할 때다.  상생 통한 중견사들의 돌파구 마련 시급어닝쇼크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확대는 지속되고 있다. 몇몇 대형사는 수주잔고나 매출액에서 해외부문이 국내를 이미 앞지르고 있다. 좀 더디긴 하나 일부 건설사에서 쇼핑몰·호텔 등 부동산 운영사업에 진출하고 있고 특히 민자발전사업으로의 진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소수 대형사들에 국한된다는 점이다. 유동성 위기의 늪에 빠진 많은 중견사들은 해외건설 수주경쟁력을 확보하지도 못했고 도급수주를 대체할 만한 신규사업 진출도 언감생심이다. 오히려 중견사들은 해외로 나가는 대형사의 빈자리만 노리고 있는 실정이다.

중견사의 돌파구 마련에는 '상생'이라는 키워드가 필요하다. 해외에서 승승장구하는 대형건설사와의 과감한 파트너링도 고민해야 한다. 부동산과 SOC의 운영 및 유지관리가 주축이 될 수밖에 없는 신규 비즈니스모델의 안착을 위해서 정책당국 및 금융권과 머리를 맞대야 할 상황이다.

부동산 거품 붕괴 이후 일본의 건설업계가 해외시장 진출로 기업의 볼륨을 확대하거나 리폼(reform)시장에서 특화된 영역을 개척해 나가면서 위기를 극복한 성공사례를 눈여겨볼 만하다. 자고로 기회는 위기와 함께 찾아오는 법이다.

☞ 본 기사는 < 머니위크 > (

www.moneyweek.co.kr

) 제314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니콜 강지영 탈퇴이유, 우리가 모르고 있던 진짜 이유는? 에이미 집안, 사랑에 빠졌는데 '1억이 무슨 대수' 연말정산 시 빠뜨리기 쉬운 공제 서류는 연소득,집주소,전화번호까지… 개인정보 유출 심각 서울시,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추진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

창업정보의 모든 것

박대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산업경제팀 수석연구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