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 지역 3.3㎡당 매매가 2000만원 아래로
주택시장에 전세와 매매 간 가격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전셋값이 치솟으면서 3.3㎡당 1000만원을 넘는 고가 전세 아파트가 크게 늘었지만 매매시장에서는 '버블세븐' 지역의 3.3㎡당 매매가격이 평균 2000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서울시내 전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3.3㎡당 1000만원 이상인 가구수가 17만9458가구로 전셋값 오름세가 시작된 2009년 1월(3만2107가구)에 비해 5.6배 늘었다. 이에 따라 3.3㎡당 1000만원이 넘는 고가 전세 아파트가 서울 전체 아파트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3.2%에서 현재 15.4%로 급증했다. 구별 평균 전셋값이 1000만원을 넘는 지역도 9개구에서 17개구로 약 2배 늘어나는 등 전세가격 오름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구별로는 강남구의 고가 전세 아파트가 6만4371가구로 가장 많고 서초구(3만7238가구)와 송파구(3만5525가구), 양천구(1만4128가구) 등의 고가 전세아파트가 대폭 늘었다.
서울지역 고가 전세 아파트의 84.3%가 이들 4개구에 집중됐다. 하지만 강북구와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서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중랑구 등은 3.3㎡당 1000만원이 넘는 고가전세 물량이 한 채도 없다.
이에 비해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목동, 경기 분당신도시, 평촌신도시, 용인시 등 '버블세븐' 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2000만원 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이들 버블세븐지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지난 21일 현재 1998만원으로 조사됐다.
올해 최고점을 찍었던 지난 3월과 비교하면 강남이 3369만원에서 3310만원으로 1.75% 빠지면서 낙폭이 가장 컸다. 이어 송파 1.51%, 목동 0.28%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부동산써브 박정욱 연구원은 "최근 강남 재건축 시장은 저렴한 매물이 빠져나간 후 추격매수에 제동이 걸리고 있어 하락세가 진정될지 불투명하다"면서 "분당과 평촌 등도 정부가 최근 리모델링 수직증축을 불허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특별한 상승 모멘텀이 없어 가격회복은 당분간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ck7024@fnnews.com홍창기기자
▶ 가장 돈 안들이고 살빼는 방법은 섹스…여성 생각
▶ 로또에 3번이나 당첨된 억세게 운좋은 美 모녀
▶ 버스안에서 '첨벙첨벙' 영상..'찜찜함의 극치'
▶ 18년 무사고 깨진 아시아나항공 '충격'
▶ "아들ㆍ딸 관심 끌려고" 셋방에 불질러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후 사망 루머 "어떻게 해야할지"
- 예비 신랑, 결혼 앞두고 장모와 잠적…드라마 같은 막장
- "아내가 다른 남자와 성관계" 숨소리도 녹음해 '외도 의심'…도 넘은 '의처증 남편' [헤어질 결심]
- '결혼 12일 만에 파경' 이민영 "공백기 고스톱으로 7조 모아
- "매일 옆에 붙어 있던 개"…생후 7개월 아이 반려견 핏불 공격에 사망
- 사강, 암 의심·자궁내막증 수술 고백…"故남편이 알려줬나"
- 대통령 탄핵 유탄 맞은 남창희 "분위기 좋았는데…"
- 故김새론 배우 복귀 위해 신내림 받았다? 측근 "사실 아냐"
- '순돌이' 이건주, 44년 만에 친모 만났다…"이름 바꾸고 재혼"
-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50대 남성 검거